2025년 5월 23일 (금)
바이오헬스혁신위 가동…1조원 블록버스터 신약 개발

바이오헬스혁신위 가동…1조원 블록버스터 신약 개발

22일 국무총리 주재로 1차 회의 개최
R&D 투자계획·규제 철폐 등 논의
“현장이 체감하는 근본적 변화 이뤄낼 것”

기사승인 2023-12-22 12:21:38
한덕수 국무총리가 2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차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선혜 기자
betough@kukinews.com

정부가 오는 2027년까지 연 매출 1조원 이상을 달성할 블록버스터 신약 개발을 이끌어 내겠다고 약속했다. 더불어 바이오헬스 분야 핵심 인재 11만명을 양성한다.

정부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제1차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를 열고 관련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혁신위는 위원장인 한 총리를 비롯해 12개 중앙행정 기관장과 부위원장인 김영태 서울대학교병원장 등 분야별 위원 17명을 위촉해 구성했다.

혁신위는 오는 2027년까지 일궈낼 목표로 △연 매출 1조원 이상 글로벌 블록버스터급 혁신 신약 2건 창출 △의약품·의료기기 등 바이오헬스 수출 2배 달성 △선도국 대비 기술 수준 82% 달성 △바이오 연구 빅데이터 100만명 구축·개방 △바이오헬스 핵심인재 11만명 양성 등을 제시했다.

연구개발(R&D) 투자 계획도 언급됐다. 먼저 한국형 아르파-H(ARPA-H·보건의료고등연구계획국) 프로젝트를 통해 앞으로 10년간 약 2조원 규모의 도전적 R&D를 추진한다.

한미 양국의 우수 연구기관이 공동 연구를 진행하는 동시에 인력을 양성하는 보스톤-코리아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3개 부처가 협력을 이어가며 2024년 864억원을 투입한다.

의사과학자 양성 방침도 분명히했다. 의사과학자 배출 수준을 현재 의과대학 졸업생의 1.6% 수준에서 선진국 수준인 3% 수준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의사과학자는 임상 현장의 수요를 보건의료 연구개발과 연결하며 산업 혁신과 국민 건강 증진을 이끌 기술 개발의 핵심 인력이라는 게 혁신위의 판단이다.

이외에도 국가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산업 현장 규제 철폐도 주요 과제로 논의됐다. 

한 총리는 “민관 합동 컨트롤타워인 바이오헬스혁신위를 통해 현장이 체감하는 근본적인 변화를 이뤄내 글로벌 바이오헬스 중심국가 도약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선혜 기자 betough@kukinews.com

박선혜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김건희 샤넬백’ 통일교 청탁 연루 정황…檢, 수행비서 출국금지

검찰이 ‘건진법사’ 전성배씨가 통일교 측으로부터 명품 가방 등을 받아 김건희 여사에게 전달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김 여사의 비서 3명이 모두 통일교 청탁 정황에 연루된 단서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23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남부지검 가상자산범죄합동수사부(부장검사 박건욱)는 최근 김 여사의 수행비서를 지낸 유경옥 전 대통령실 제2부속실 행정관을 출국금지했다.검찰은 샤넬코리아를 압수수색한 결과, 통일교 전 세계본부장 윤모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