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4일 (일)
직장인이 꼽은 저출생 대책 1위는? ‘부부 육아휴직 의무화’

직장인이 꼽은 저출생 대책 1위는? ‘부부 육아휴직 의무화’

기사승인 2024-02-26 08:57:11
쿠키뉴스 자료사진
임지혜 기자
jihye@kukinews.com

지난해 육아휴직 사용자 12만여명 가운데 남성 비율은 28.0%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비율은 72.0%로 여전히 여성의 육아 부담이 높은 가운데 직장인 상당수는 가장 필요한 저출생 대책으로 ‘부부 모두 육아휴직 의무화’를 꼽았다.

고용노동부가 25일 발표한 ‘2023년 육아휴직자 및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사용자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육아휴직 사용자는 12만6008명으로 집계됐다. 전년(13만1084명) 대비 3.9%(5076명) 줄어든 수준이지만, 같은 해 1~11월 출생아 수가 21만3571명으로 전년보다 8.1%(1만8717명) 줄어든 것을 감안하면 실제 육아휴직 활용률은 증가 추세라는 게 고용부의 설명이다.

지난해 전체 육아휴직자 중 남성은 3만5336명(28.0%), 여성은 9만672명(72.0%)을 자치했다. 특히 여성의 77.9%는 출산휴가에 이어 자녀가 1세 미만일 때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사례가 많았다. 남성은 자녀가 1세 미만일 때 39.0%, 1세일 때 10.2% 사용했고, 초등학교 입학기인 6~7세에 사용하는 경우도 많았다. 육아휴직 평균 사용기간도 남성은 7.5개월로 여성(9.5개월)보다 짧았다.

육아휴직은 증가 추세지만, 직장인들은 여전히 ‘부부 모두 육아휴직’ ‘육아휴직급여 인상 등 현금성 지원 확대 등 제도 확대를 요구한다. 시민단체 직장갑질119가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저출산 해결을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 ’부부 모두 육아휴직 의무화‘(20.1%)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육아휴직급여 인상 등 현금성 지원 확대’(18.2%), ‘임신·출산·육아휴직 사용을 이유로 불이익을 주는 사업주 처벌 강화’(16.7%), ‘근로시간 단축 등 일·육아 병행 제도 확대’(15.2%) 등도 뒤를 이었다.

임지혜 기자 jihye@kukinews.com
임지혜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깜짝 콜업’ 김혜성, 28번째 빅리거로…애틀란타전 대수비 출전

한국을 떠나 미국 도전에 나선 김혜성(LA 다저스)이 빅리그에 입성하며 꿈을 이뤘다.김혜성은 4일(한국시간) 오전 8시15분 미국 조지아주 애틀란타 트루이스트 파크에서 열린 ‘2025 미국 메이저리그(MLB)’ 애틀란타 브레이브스와 원정경기에서 9회말 대수비로 출전하며 메이저리그에 첫발을 내디뎠다.LA 다저스는 이날 경기에 앞서 발목 부상을 당한 토미 에드먼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김혜성을 콜업했다. 김혜성은 내·외야를 모두 소화할 수 있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