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3일 (화)
3월 소비자물가 지난해 대비 3.1% 상승…두 달 연속 3%대

3월 소비자물가 지난해 대비 3.1% 상승…두 달 연속 3%대

기사승인 2024-04-02 09:46:49 업데이트 2024-04-02 09:47:40
소비자가 마트에서 농산물을 고르고 있다. 김건주기자
김건주 기자
gun@kukinews.com

과일 가격 상승과 유가 불안이 이어지면서 소비자물가가 두 달 연속으로 3%대 오름세를 보였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94(2020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1% 올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1월 2.8%로 낮아졌다가 2월에 3.1%로 올라섰다. 그 뒤로 2개월째 3%대를 이어갔다.

지난달에도 농축수산물이 전체 물가를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농축수산물은 11.7% 상승해 2021년 4월(13.2%) 이후 2년 11개월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농산물은 20.5% 올라 전월(20.9%)에 이어 두 달 연속 20%대를 기록했다.

특히 사과가 88.2% 상승해 전월(71.0%)보다 상승세를 키웠다.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0년 1월 이후 역대 최대 상승 폭이다.

배도 87.8% 올라 조사가 시작된 1975년 1월 이후 역대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귤(68.4%)도 크게 뛰면서 과실 물가는 40.3% 올랐다. 2월(40.6%)에 이어 두 달째 40%대 상승률이다.

과일 물가는 지난해 이상 기후 등의 영향에 따른 작황 부진과 지난해 기저효과 등으로 오름세가 이어지고 있다.

토마토(36.1%)와 파(23.4%) 등도 급등하면서 채소류는 10.9% 올랐다. 수입쇠고기(8.9%) 등 축산물은 2.1% 상승했다.

국제유가 불안에 석유류도 1.2% 상승했다. 석유류가 작년 같은 달보다 오른 것은 작년 1월(4.1%) 이후 14개월 만이다.

공업제품은 2.2% 올랐다. 신상품 가격 인상에 원피스(14.0%), 티셔츠(10.4%) 등 의류 물가가 주로 올랐다.

기상 등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품목으로 구성된 신선식품지수는 19.5% 올라 6개월째 상승률이 두자릿 수를 이어갔다.

신선식품지수 상승률이 6개월 이상 10%를 넘긴 것은 2010년 2월~2011년 3월 이후 처음이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2.4% 올랐다.

개인 서비스 물가가 3.1% 올라 전월(3.4%)보다 오름폭이 낮아졌다. 외식이 3.4%, 외식외 서비스 물가가 2.9% 각각 상승했다.

보험서비스료(17.9%), 구내식당식사비(5.1%), 공동주택관리비(4.8%) 등도 오름세를 보였다. 공공서비스는 택시요금(13.0%), 시내버스료(11.7%) 등이 올라 2.0% 상승했다.

식품 등 실생활에 밀접한 품목인 ‘생활물가지수’는 3.8%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김건주 기자 gun@kukinews.comㅂ
김건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한국미 알리겠다는 의무감”…‘탄금’ 이재욱·조보아, 전세계 홀릴 미스터리 멜로 사극

철저한 고증으로 구현한 한국미를 바탕으로 사극에 최적화된 배우들이 의기투합한 ‘탄금’이 베일을 벗는다.넷플릭스 시리즈 ‘탄금’ 제작발표회가 13일 오전 서울 신도림동 라마다호텔에서 열렸다. 현장에는 김홍선 감독, 배우 이재욱, 조보아, 정가람, 엄지원, 박병은이 참석했다.‘탄금’은 실종됐던 조선 최대 상단의 아들 홍랑이 기억을 잃은 채 12년 만에 돌아오고, 이복누이 재이만이 그의 실체를 의심하는 가운데 둘 사이 싹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