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 향하는 삼성 균형추”…기득권 싸움에 업계는 ‘한숨’ [격세노조②]

“민노 향하는 삼성 균형추”…기득권 싸움에 업계는 ‘한숨’ [격세노조②]

- 삼성전자 최대 노조 전삼노, 금속노조 소속 시 ‘상징성’
- 금속노조, 기득권 지키기·무리한 요구·잦은 파업 비판도
- 업계서는 예의주시 중…“파업 잦아지면 피해도 확산”

기사승인 2024-06-05 06:00:33
지난 2022년 열린 금속노조 총파업. 사진=박효상 기자 

삼성전자 최대 노조인 전국삼성전자노조(전삼노)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과 거리를 좁히며, 반도체·전자업계에서 향후 영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반도체·전자업계 노조의 균형추가 보다 ‘강성’으로 쏠릴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전삼노가 현재 소속된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전국금속노동조합연맹(금속노련)에는 전삼노를 포함해 다수의 반도체·전자 노동조합이 속해 있다. LG전자 노동조합과 SK하이닉스 노동조합, LG디스플레이 노동조합 등이 대표적이다. 이외에도 다양한 반도체 제조사 노동조합이 함께 하고 있다.

민주노총 전국금속노동조합(금속노조)에도 전자·반도체 업계 노동자들이 소속돼 있으나 대다수는 해당 기업에서 ‘주류 노조’를 이루고 있지는 못하다. 금속노조 조합원 다수는 자동차 업계 조합원이다. 기업지부인 현대차지부와 기아차지부 조합원이 과반을 차지하고 있다.

전삼노 조합원은 지난 3일 기준 2만8387명이다. 삼성전자 전체 인원의 약 23%다. 전삼노가 소속을 바꾸게 된다면 반도체·전자업계의 주류 노조가 금속노조 소속이 되는 ‘상징성’이 생기게 된다.

삼성전자 서초 사옥. 사진=박효상 기자 

일각에서는 금속노조가 강성 중의 강성으로 분류되는 점을 우려하기도 한다. 전삼노 역시 앞선 노조들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금속노조는 민주노총 투쟁의 선봉에 서며 노동자들의 권리를 대변해 왔다. 다만 일부 지부에서는 노조원의 기득권 지키기와 무리한 요구, 이에 따른 잦은 파업 등으로 인해 비판을 받아왔다.

금속노조 기아차지부와 현대차지부는 정년퇴직자 및 25년 이상 장기 근속자·산재사망자 자녀를 우선 채용한다는 내용의 단체협약 조항 지속을 요구해 왔다. 기아·현대 직원의 자녀에게 먼저 입사 기회를 준다는 조항이다. 기아·현대 모두 높은 연봉과 복지를 제공하기에 구직자에게는 ‘꿈의 기업’이다. 이로 인해 ‘현대판 음서제’, ‘고용세습’ 등의 비판을 받아왔다. 각각 지난해와 지난 2019년에서야 해당 조항을 삭제했다.

2019년에는 현대차에서 근무시간 중 와이파이 접속을 금지하자 노조가 강경 투쟁에 나서기도 했다. 당시 사측에서는 “근무 중 와이파이를 활용한 스마트폰 사용으로 작업자의 안전문제 발생 위험 및 품질 불량 가능성이 높아진다”며 휴게·식사시간에만 와이파이 접속을 허용토록 했다. 그러나 노조는 “와이파이 접속은 조합원의 후생복지와 관련된 사안”이라며 모든 특근을 전면 거부했다. 이에 사측은 노조와 다시 협의를 벌인 후 종전처럼 와이파이를 24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반도체·전자 노조가 강성화될 경우, 산업계 전반에 미칠 피해가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업계 관계자는 “파업이 잦아지게 될 경우 업계에 막대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며 “특히 반도체의 경우 공장이 24시간 돌아가야 한다. 쉬었다가 다시 돌리는 경우에도 온전히 사이클을 찾기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소연 기자 soyeon@kukinews.com

이소연 기자
soyeon@kukinews.com
이소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