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0일 (화)
생산자물가 6개월 연속 상승…5월 전월比 0.1%↑

생산자물가 6개월 연속 상승…5월 전월比 0.1%↑

한국은행 ‘2024년 5월 생산자물가지수(잠정)’ 보고서 발표

기사승인 2024-06-21 10:43:36
한국은행 제공.
김동운 기자
chobits3095@kukinews.com

생산자물가가 6개월 연속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과 서비스 부문에서 증가세가 이어지면서 5월 생산자물가가 올라갔다.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2024년 5월 생산자물가지수(잠정)’ 보고서에 따르면 5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19.25로 전월(119.16) 대비 0.1% 상승했다. 농림수산품(-4.0%)이 내려갔지만 서비스(0.5%) 등이 올라 전월 대비 0.1% 상승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2.3% 오르며 10개월 연속 상승했다.

개별 품목별로 보면 농림수산품 물가는 수산물(0.6%)이 올랐으나 농산물(-7.5%), 축산물(-1.3%)이 내려 전월 대비 4.0% 하락했다. 공산품 물가는 1차 금속제품(1.3%) 등이 올랐으나 석탄 및 석유제품(-3.5%),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0.3%) 등이 내려 전월 대비 보합세를 보였다.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 물가는 산업용도시가스(5.3%) 등이 올라 전월 대비 0.5% 상승했다. 서비스 물가는 정보통신 및 방송서비스(2.4%), 음식점 및 숙박서비스(0.2%) 등이 올라 전월 대비 0.5% 올랐다.

한국은행 제공.

공급물가지수는 원재료(1.2%), 중간재(0.1%), 최종재(0.1%)가 올라 전월대비 0.2% 상승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2.2% 올랐다. 공급물가지수는 물가변동의 파급과정 등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에 공급되는 상품·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원재료, 중간재, 최종재의 생산단계별로 구분해 측정한 지수다. 

세부적으로 보면 원재료는 국내출하(-2.8%)가 내렸으나 수입(2.4%)이 올라 전월 대비 1.2% 상승했다. 중간재는 국내출하(0.1%), 수입(0.1%)이 모두 올라 전월 대비 0.1% 상승했다. 최종재는 자본재(-0.2%), 소비재(-0.9%)가 내렸으나 서비스(1.0%)가 올라 전월 대비 0.1% 상승했다.

국내 출하에 수출품까지 더한 총산출물가지수는 0.1% 내렸다. 전력·가스·수도및폐기물(0.5%)과 서비스(0.5%)가 올랐지만, 농림수산품(-4.0%), 공산품(-0.2%) 등이 내린 영향이다.

유성욱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5월 생산자물가는 농림수산품이 농산물과 축산물을 중심으로 하락하고 공산품은 보합수준을 유지했지만,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이 산업용 도시가스를 중심으로 상승하고 서비스도 올라 전월대비 0.1%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김동운 기자 chobits3095@kukinews.com
김동운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실용으로 험지 넘고, 비전으로 텃밭 다지고…이재명이 택한 화법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영남과 호남 지방 유세 일정을 마친 가운데, 지역별 정서와 정치 지형을 반영한 맞춤형 메시지 전략을 구사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보수색이 짙은 영남에서는 지역주의 극복과 합리적 보수를 내세우며 외연 확장에 나섰고, 민주당의 전통 지지 기반인 호남에서는 재생에너지와 미래 산업 중심의 구체적인 성장 전략을 제시하며 지지층 결집에 집중했다. 20일 본지가 지난 13일부터 18일까지 이 후보의 지방 유세 발언을 분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