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포농생명 클러스터, ‘RE100 산단’으로 조성

내포농생명 클러스터, ‘RE100 산단’으로 조성

충남도, 예산군·충개공·서부발전·미래엔서해에너지 등과 협약
계획단계부터 신재생 반영…태양광 등 통해 연 5256만㎾h 발전
김태흠 지사 “RE100은 선택 아닌 필수...탄소중립 선도 모델로”

기사승인 2024-07-08 13:29:27
충남도는 8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김태흠 충남지사를 비롯해 최재구 예산군수, 김병근 충남개발공사 사장, 박형덕 한국서부발전 사장, 박영수 미래엔서해에너지 사장, 박하석 한국전기공사협회 세종충남도회 회장 등과 ‘RE100 산단 조성을 위한 상생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충남도가 예산 삽교 일원에 조성 추진 중인 ‘내포 농생명 융복합 클러스터’를 ‘RE100 산업단지’로 추진하면서 개발 계획 단계부터 RE100을 적용한다. 

RE100은 기업에서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신재생에너지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사용하겠다는 국제 캠페인이다. 

김태흠 지사는 8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최재구 예산군수, 김병근 충남개발공사 사장, 박형덕 한국서부발전 사장, 박영수 미래엔서해에너지 사장, 박하석 한국전기공사협회 세종충남도회 회장 등과 ‘RE100 산단 조성을 위한 상생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내포 농생명 융복합 클러스터를 RE100 산단으로 조성하며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 맺었다. 

협약에 따르면, 도와 예산군은 산단 실시계획 및 관리기본계획 수립 시 RE100 계획 및 신재생에너지 발전 허용 업종 반영,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추진, 사업 부지 개발 및 인허가 등 행정적인 지원에 협력한다. 

충남개발공사는 RE100 산단 계획 반영 시행 등 신재생에너지 공급 기반 조성 사업 추진에 협력키로 했다. 

서부발전과 미래엔서해에너지는 태양광 발전 사업 등 신재생 발전 사업 투자 및 건설·운영, 신재생 발전 사업 보급 촉진 및 활성화를 위한 정보 제공, 기타 RE100 산단 조성 사업 추진에 협력한다. 

서부발전과 미래엔서해에너지는 2027년까지 870억 원을 투입, 내포 농생명 융복합 클러스터 유휴 부지와 건물 지붕, 스마트팜 등에 42㎿급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를 설치한다. 

이를 통해 생산하게 될 전력은 연간 5256만㎾h로, 예산 지역 내 주택(4만 호)이 1년 간 사용하는 전략량의 41% 또는 산업용 전력 1년 사용량의 6.5%에 달하는 규모다. 

도는 이번 RE100 산단 조성이 계획대로 추진되면, 발전사와 입주기업이 직접 전력구매계약(PPA)을 체결해 RE100을 인증받고, 탄소중립 무역장벽 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설치와 운영 과정에서 458명의 고용을 창출하고, 발전소 주변 지역에 주는 특별지원금과 기본지원사업 지원금 등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김태흠 지사는 “충남 경제의 특성상 수출 의존도가 높은데 새로운 무역장벽으로 대두되고 있는 ‘RE100을 어떻게 실현을 하느냐’ 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내포농생명 융복합 산업 클러스터의 또 다른 이름이 대한민국 최초의 RE100 산업단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태양광 등을 활용해 기업에 전력을 공급하고 탄소포집을 통해 탄소와 폐열을 스마트팜에 제공하는 등 친환경 첨단 산단이 조성될 것”이라며 “이번 사업의 특징은 870억 원이 들어가는 이 사업에 도민 세금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민자로 추진하다”고도 밝혔다. 

또한한 “그동안 기존 산단에 태양광 시설을 설치하는 RE100 사업을 한 적은 있었어도 처음부터 RE100 산단을 신규 조성한 적은 없었다”며 “계획 수립 단계부터 RE100이 반영되는 내포 농생명 클러스터는 탄소중립경제 선도 모델로, 우리나라 산단의 표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서 “탄소중립이 곧 충남 경제의 경쟁력”이라며 “온실가스 감축과 기업 경쟁력 강화,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일석삼조의 RE100산단이 성공할 수 있도록 힘을 모아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내포 농생명 융복합 클러스터는 예산군 삽교읍 166만 7000㎡에 2027년까지 3458억 원을 투입해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주요 시설로는 임대·분양형 스마트팜, 고기능 건강식품 등 생산 산단, 그린바이오 벤처캠퍼스·천연물 소재 연구 및 실증센터 등 연구지원단지 등이 있다.

내포=홍석원 기자 001hong@kukinews.com
홍석원 기자
001hong@kukinews.com
홍석원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