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2일 (수)
대구·경북 행정통합 ‘청신호’…홍준표·이철우 합의문 서명

대구·경북 행정통합 ‘청신호’…홍준표·이철우 합의문 서명

기사승인 2024-10-21 14:50:08 업데이트 2024-10-21 15:11:46
21일 오후 2시 정부서울청사에서 (왼쪽부터)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홍준표 대구시장,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대구·경북 통합을 위한 공동 합의문에 서명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최재용 기자, 노재현 기자
ganada557@hanmail.net

대구·경북 행정통합이 본격적인 궤도에 오르게 됐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21일 오후 2시 정부서울청사에서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 홍준표 대구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대구·경북 통합을 위한 공동 합의문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이번 합의는 지난 6월 4일 4개 기관이 대구·경북 통합 추진을 공식화한 이후 약 4개월 만에 이뤄진 결실이다. 

공동 합의문에는 대구·경북 통합 추진을 위한 4개 기관의 역할과 대구시·경북도 간 7가지 합의사항이 담겼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대구시와 경북도는 상호 존중과 신뢰를 바탕으로 통합을 지속 추진하기로 했다. 행정안전부와 지방시대위원회는 입법 절차와 행정적·재정적 지원, 국가 사무와 재정의 적극적 이양을 약속했다.

대구·경북 행정통합 합의문. 대구시 제공

대구시와 경북도를 통합해 설치하는 지방자치단체 이름은 ‘대구경북특별시’로 하고 법적 지위는 수도인 서울특별시에 준하는 위상으로 설정했다.

또 대구시와 경북도는 통합 후에도 시·군·자치구가 기존 사무를 계속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북부지역 발전 등 지역 내 균형발전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더불어 대구시 청사와 경북도 안동시·포항시 청사를 모두 활용하기로 합의해 청사 문제로 인한 갈등을 해소했다. 또 이견을 보였던 부시장과 소방본부장의 직급과 정수는 서울특별시에 준하는 위상에 부합하도록 설정하고, 부시장의 사무분장과 배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기로 했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이번 합의를 토대로 신속히 통합방안을 마련해 정부에 건의할 예정이다. 정부는 관계부처가 참여하는 범정부 협의체를 구성해 대구·경북 통합 지원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대구·경북 통합 지방자치단체는 특별법 제정 이후 2026년 7월 출범을 목표로 하고 있다.
최재용 기자
노재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배우 박해준 씨, ‘폭싹 속았수다’

아내와 자식에게 헌신하며 닳아가는 ‘무쇠’ 관식의 일생을 참 애달프게도 그렸다. 그를 보고 저마다 자신의 아버지를 떠올렸다. 배우 박해준이 아닌, 모두의 아버지였다. 다 임상춘 작가의 대본 덕분이란다. 하지만 4막의 여운이 채 가시기도 전에 그와 마주하니, 그의 겸손 어린 진심에 더 동감할 수 없었다. 말은 그렇게 해도, 제목처럼 참으로 고생했을 그를 1일 서울 장충동2가 앰배서더 서울풀만호텔에서 만났다.박해준은 넷플릭스 오리지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