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부터 데이터센터, 거대언어모델(LLM), 인공지능(AI) 서비스까지. AI 전 영역에서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 SK가 성과 및 향후 비전에 대해 발표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지난 4일부터 5일까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리는 ‘SK AI 서밋 2024’에는 SK그룹과 SK하이닉스, SKT, SK엔무브, SK브로드밴드(SKB), SK바이오팜, SK에너지, SK엔무브 등 SK 계열사를 비롯해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AWS, 엔비디아 등 글로벌 빅테크들이 참여했다.
최 회장은 4일 키노트 연설에서 ‘협력과 생태계로 만들어 가는 SK의 비전’을 주제로 발표했다. 특히 이날 연설에서는 다양한 파트너십이 강조됐다. 최 회장은 “AI의 미래를 위해서는 많은 사람의 협력이 필요하다”며 “AI에 대해서는 아직 모르는 게 많다. 함께 고민하고 풀어나가야 한다. 또한 AI는 우리 삶과 사회에 광범위한 변화를 불러올 것이기에 긍정적 변화를 이끌려면 다양한 이들의 참여와 협력을 필요로 한다”고 말했다.
SK와 끈끈한 협업을 진행 중인 기업들도 기조연설에 영상으로 참여했다. 특히 반도체 분야에서 SK하이닉스와 삼각공조를 이루고 있는 엔비디아와 TSMC CEO가 영상으로 등장해 SK와의 협력 중요성 및 AI 미래 비전에 대해 언급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SK하이닉스의) HBM 덕분에 ‘무어의 법칙’을 뛰어넘는 진보를 지속할 수 있었다”며 “SK하이닉스와의 파트너십은 그동안 우리가 해왔던 일을 새롭게 혁신했다”고 이야기했다. 씨씨 웨이 TSMC CEO도 “SK하이닉스의 HBM이 오늘날 AI 가속화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함께 노력한다면 지속가능하고 확장가능한 AI 솔루션으로 더 나은 세상을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최 회장은 이날 스탠딩 인터뷰에서도 협업을 통해 AI 장애물을 넘어서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기조연설에서 유즈케이스와 AI 가속기, 에너지 문제 등을 장애물로 언급한 바 있다. 최 회장은 “AI 장애물은 절대 혼자로 해결할 수 없다. 결국은 비용의 문제다. AI 운영 비용을 낮추기 위해 새로운 칩도 필요하고 에너지 솔루션도 필요하다”며 “AI 투자가 수익으로 돌아올 수 있는 선순환을 통해 많은 회사들과 다양한 논의를 해야 한다”고 했다.
SK가 리밸런싱 작업 중인 것과 관련, AI 투자 비용을 어떻게 충당할 계획이냐는 물음에는 “부채 비율이나 순차 입금을 줄이는 노력을 하고 있다. 그 줄인 부분을 어디다가 투자하지 않겠느냐. AI에 투자 비중이 좀 더 높아질 것으로 생각한다”고 답했다.
SK는 이날 계열사 간의 협업도 강조했다. 계열사 간 역량을 합쳐 AI 분야에서 시너지 효과를 내겠다는 것이다. SKT는 이날 세계 최고 수준의 ‘AI 인프라’를 조성하겠다는 청사진을 발표했다. △AI 데이터센터(DC) △GPU 클라우드 서비스 △에지AI 등을 중심으로 전국의 AI 인프라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겠다는 포부다.
특히 국내 지역 거점에 하이퍼스케일 AI DC를 시작으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AI DC 허브’로 도약한다는 구상이다. AI DC는 SK그룹이 보유한 차세대 반도체와 액침냉각 등 에너지 솔루션 등을 통해 저렴한 비용으로 운영될 수 있다.
이와 함께 ‘한국형 소버린 AI’ 구현도 언급됐다. SKT가 투자해온 반도체 기업 리벨리온의 NPU와 SK하이닉스의 HBM, SKT 및 파트너사의 AI DC 솔루션을 결합해 구현한다는 방침이다.
유영상 SKT 대표는 “AI G3 도약이라는 사명 아래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를 진행하겠다”며 “기업의 과감한 도전은 산업 전반의 AI 도전을 촉진시키고 목표 달성을 위한 강한 추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SK하이닉스는 탄탄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AI를 주도할 것이라는 자신감을 보였다. 이날 기조연설에서 나선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는 16단 HBM3E 개발을 세계 최초로 공식화했다. 16단 HBM3E는 현존 HBM 최대 용량인 48GB를 구현할 수 있다. 기존 12단을 넘어선 최고층 HBM3E 제품이다. 오는 2025년 초 고객에게 샘플을 제공할 예정이다.
곽 대표는 “현재 세계 최초로 개발, 양산하고 있는 ‘월드 퍼스트’ 제품을 다양하게 준비 중이며 최고 경쟁력을 갖춘 ‘비욘드 베스트’ 제품을 계획하고 있다. AI 시대 최적화를 위한 ‘옵티멀 이노베이션’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라며 “AI 시대 전 영역에 걸친 AI 메모리 솔루션 라인업을 갖춤으로써 새로운 미래를 창조할 준비가 돼 있다”고 했다.
이날 코엑스 1층 그랜드볼룸에 마련된 전시관에서는 SK와 글로벌 빅테크, 중소 AI 기업의 다양한 AI 기술도 둘러볼 수 있었다. SK그룹 전시존에서는 SKT, SK엔무브, SK하이닉스 등의 기술이 종합된 AI DC를 미리 만나볼 수 있었다. SKT의 통신 특화 AI 플랫폼 ‘텔코 LLM’과 LLM ‘A.X’, 통신 관련 문의를 응대하는 상담사의 업무를 돕기 위한 ‘CC센터’도 살펴볼 수 있었다.
상용화된 SK의 다양한 AI 서비스들도 소개됐다. SKT의 에이닷과 SKB의 ‘AI 4 비전 셋톱박스’, SK바이오팜의 뇌전증 관리 AI 플랫폼 ‘프로젝트 제로’ 등이다. SKT 에이닷은 현재 모바일과 웹 등으로 서비스되고 있으며 A.X를 비롯해 퍼플렉시티, 챗GPT, 클로드 등 8종의 LLM 모델에 묻고 답할 수 있다. AI 4 비전 셋톱박스는 지난 9월 SKB가 선보인 신형 셋톱박스다. 에이닷을 통해 대화형으로 콘텐츠를 추천받을 수 있고, 카메라가 장착돼 고객의 움직임을 인식한 모션게임과 홈 피트니스, 펫 모니터링 등도 가능해졌다. 프로젝트 제로는 지난해 CES에서 선보인 디지털 헬스케어 디바이스다. 뇌전증 발작 탐지와 예측을 위한 제품이다.
글로벌 빅테크존에는 엔비디아와 MS, 구글클라우드, AWS가 참여했고, AI K-얼라이언스존에서는 코난테크놀로지와 페르소나 AI, 래블업, 가우스랩스, Nota AI 등의 AI 기술을 체험해 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