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5일 (토)
복지부, 연내 의료개혁 2차 실행안 공개…“필수의료 수가 정상화”

복지부, 연내 의료개혁 2차 실행안 공개…“필수의료 수가 정상화”

의료사고 안전망 구축, 실손보험 구조 개혁 담길 예정
전공의·의대생 복귀 설득 계속

기사승인 2024-11-14 11:18:30
이기일 보건복지부 제1차관이 1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윤석열 정부 보건복지 분야 주요 성과 및 향후 추진계획에 대한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신대현 기자
sdh3698@kukinews.com

정부가 연내 2차 의료개혁 실행 방안을 공개하겠다고 예고했다. 의료개혁을 계속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내면서도 현 상황을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다며 전공의와 의대생들의 복귀를 위해 계속 설득하겠다고 강조했다.

이기일 보건복지부 제1차관은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 보건복지 분야 주요 성과 및 향후 추진계획’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다.

복지부는 지난 8월 의료개혁 1차 실행 방안을 마련해 △의료인력 확충 △의료전달체계 정상화와 지역의료 재건 △필수의료에 대한 충분하고 공정한 보상 △환자와 의료진의 의료사고 안전망 구축 등 4대 과제 이행을 추진 중이다. 연내 발표될 2차 실행 방안에는 의료사고 안전망 구축을 위한 구체적 계획과 불필요한 의료 자원 낭비를 막는 실손보험 구조 개혁 등이 담길 예정이다.

이 차관은 “의료전달체계 정상화를 위해 중증·응급의료 중심의 상급종합병원 구조 전환 지원사업도 차근차근 추진하고 있다”며 “현재까지 47개 상급종합병원 중 31개가 참여하고 있고, 11월14일 현재 9개소가 추가로 신청을 접수해 85%가 구조 전환에 동참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필수의료에 대한 충분하고 공정한 보상을 위해 저평가된 3000개의 수가에 대해서도 2027년까지 원가 보상이 100% 이상 될 수 있도록 정상화를 추진하겠다”면서 “정부는 전공의 이탈 후 미복귀 등 현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의료계를 끝까지 설득하고, 국민 불편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라고 강조했다. 복지부는 이 과정에서 의료개혁특별위원회 뿐만 아니라 여야의정 협의체와도 긴밀히 논의하겠다고 했다. 

정부는 국민들의 의료접근성 제고를 위해 현재 시범사업 형태인 비대면 진료를 제도화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비대면 진료는 지난해 6월 시범사업 시행 후 올해 7월까지 의료기관 8819곳이 참여하고, 환자 115만명이 이용했다.

미래 먹거리로 꼽히는 바이오·디지털 헬스 분야에선 정부 차원의 연구개발(R&D) 투자를 1조원까지 확대하는 등 산업 육성을 위해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차관은 “글로벌 톱클래스 연구자와의 공동 연구에 대한 투자를 보다 확대하고 있고, 블록버스터급 신약 창출을 위해 K-바이오 펀드를 현재 3000억에서 1조원까지 확대할 계획이다”라고 전했다.
신대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미국인 2명 중 1명 “트럼프 관세정책 반대”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전 세계를 상대로 막대한 관세를 메기는 가운데 자국 여론도 엇갈리고 있다. 5일 외신에 따르면 지난달 27일부터 엿새간 미국 유권자 1050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 54%가 트럼프 관세정책에 반대했다. 지난 1월에는 관세정책을 ‘지지(48%)한다’는 응답이 반대(46%)를 앞섰지만 이번엔 지지 응답률이 42%로 감소했다. 응답자 4분의 3은 관세 정책으로 물가 상승을 우려했다. ‘트럼프 경제정책에 반대(52%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