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5일 (토)
서울의대 교수들 “의정갈등 후 의학연구 시간 3분의 1 수준 감소”

서울의대 교수들 “의정갈등 후 의학연구 시간 3분의 1 수준 감소”

교수 10명 중 7명 “24시간 근무 후 휴게 시간 보장 못 받아”
“다른 국가와 연구 성과 격차 더 벌어질 것”

기사승인 2024-11-22 18:16:39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7월15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양윤선홀에서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께 드리는 의견’을 주제로 기자회견을 열었다. 사진=신대현 기자
신대현 기자
sdh3698@kukinews.com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들의 연구 시간이 지난해에 비해 3분의 1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22일 “의과학 연구 역량은 국가 경쟁력과 직결되지만 이대로라면 우리나라 의학계의 연구 역량은 10년 이상 퇴보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의정갈등 장기화가 환자들뿐 아니라 의과학 연구를 수행하는 교수들에게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비대위는 지난 12~15일 서울의대와 서울대병원에서 근무하는 교수들을 대상으로 의학 연구에 할애하는 시간과 휴게 시간 등에 대해 묻는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조사에는 164명이 답했다. 조사 결과, 10명 중 7명은 24시간 근무 후 휴게 시간을 보장받지 못하고 있으며, 절반 가까이(45%)가 주 72시간 이상 근무했다. 의학 연구에 들이는 시간은 이전에 비해 3분의 1 수준(35.7%)으로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비대위는 “작년 의학한림원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의학 분야 연구 논문 수는 세계 13위에 해당하나 다른 선진국에 비해 최근 몇 년간 정체 상태에 있다”며 “연구 결과가 발표되는 데에 보통 1년 이상의 시간이 걸린다는 점을 고려할 때 현재 상급종합병원의 파행적 상황은 내년 이후 연구 성과의 급격한 하락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개혁이란 미명 아래 밀어붙이는 정책이 국가 미래를 책임질 연구 역량을 황폐화시키고 있다는 사실을 정부는 알고 있는가”라며 “이번 사태로 인해 향후 연구 성과는 오히려 줄어들고 다른 국가와의 격차는 더 벌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구개발(R&D) 예산 삭감에 대해선 “세계적으로 첨단과학 분야의 연구 투자가 늘어나는 추세이지만 우리나라에선 대통령 한마디에 R&D 예산이 삭감되고, 인재들이 의대를 가기 위해 다니던 대학교를 그만두고 있다”면서 “이것이 모두 하루아침에 이뤄진 2000명 의대 정원 증원에서 비롯됐다”고 전했다.
신대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미국인 2명 중 1명 “트럼프 관세정책 반대”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전 세계를 상대로 막대한 관세를 메기는 가운데 자국 여론도 엇갈리고 있다. 5일 외신에 따르면 지난달 27일부터 엿새간 미국 유권자 1050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 54%가 트럼프 관세정책에 반대했다. 지난 1월에는 관세정책을 ‘지지(48%)한다’는 응답이 반대(46%)를 앞섰지만 이번엔 지지 응답률이 42%로 감소했다. 응답자 4분의 3은 관세 정책으로 물가 상승을 우려했다. ‘트럼프 경제정책에 반대(52%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