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회는 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하고 한국과수농협연합회가 주관했다. 맛과 품질이 우수한 국산과일을 발굴해 소비자들에게 널리 홍보하기 위해서다.

박 씨는 대학 졸업 후 김해시 진영읍 신용리 2.5ha 규모의 과수원에서 연간 70t가량의 단감을 재배 생산하고 있다.
그는 단감 전문가가 되고자 지속적인 연구와 컨설팅으로 GAP와 저탄소농산물 인증을 취득했다.
그의 이런 소식이 주변에 확산하면서 유통업체의 단감주문 물량과 택배가 크게 급증했다. 단감 재배 100년의 역사를 지닌 진영지역은 국내 단감의 시배지로 유명하다.
진영 단감은 주로 과수원 산비탈 북사면에서 재배해 가을에 서리 피해가 적고 일교차가 커 당도가 높은 점이 특징이다.
시는 이번 선발대회에서 진영 단감의 우수성을 전국에 알린 만큼 앞으로도 진영 단감의 우수성을 입증하는데 매진해나갈 방침이다.
◆김해시 사망 참전유공자 배우자 찾아 수당 지급
김해시가 사망한 참전유공자를 찾아내 해당 배우자에게 월 8만원의 수당을 지급한다.
참전유공자 배우자들에게 수당을 지급하는 관련 조례가 제정되기 전에는 사망한 참전유공자들에 대한 정보가 없어 이들을 찾아내는데 큰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이다.
시는 이달부터 두 달간 경남동부보훈지청에서 통보한 제적(사망)참전유공자 2541명의 가족 관계와 혼인 관계를 확인해 배우자가 있는지 정보를 살핀다. 내년 2월부터는 사망한 참전유공자 신규 배우자들을 대상으로 수당 신청을 독려한다.
시는 참전유공자 배우자들이 수당 지급 관련 정보를 잘 몰라 수당을 신청하지 않는 사례를 개선하고자 참전유공자 예우와 지원에 온 힘을 다할 계획이다. 현재 김해지역에서 수당을 받는 배우자는 654명에 이른다.
◆김해시 지역먹거리 5년 연속 우수상 받아
김해지역 먹거리가 지난 3일 세종시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4년 지역먹거리 지수 시상식'에서 우수상에 선정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사장상을 받았다.
지역 먹거리 지수 평가는 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하고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와 소비자시민모임이 주관했다. 전국 159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지역 먹거리 관련 17개 지표를 평가했다.

김해 지역먹거리는 2020년부터 5년 연속으로 영남권 최고등급을 유지해 오고 있다. 지난해에는 영남권 최초로 A등급을 받아 지역먹거리로서 명실 공히 인정을 받았다.
올해도 'A등급 우수상'에 선정돼 지역먹거리 정책 수행 선진 지자체로 이름을 올렸다.
시는 2014년부터 김해지역 학교에 지역 먹거리를 공급하던 김해시먹거리통합지원센터를 확장 신축해 지난달에 개소했다.
더불어 2021년부터는 김해시 농촌신활력플러스 사업을 통해 시 직영 로컬푸드 직매장을 운영해 로컬푸드 공급망도 확대하고 있다.
김해 지역먹거리 정책 발전을 위해 '민-관'이 함께 '김해시먹거리보장시민위원회'도 구성했다.
시는 김해 먹거리 정책이 5년 연속 영남권 최고등급을 받은 만큼 앞으로 지역 먹거리 선순환체계를 구축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허목 김해시보건소장 금연지원센터 성과대회 우수기관상 받아
허목 김해시보건소장이 지난 4일 '2024년 경남금연지원센터 성과대회 기관장 평가'에서 '우수기관장상'을 받았다.
이번 대회는 한 해 동안 금연사업을 위해 애쓴 우수기관과 유공자의 금연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미래 사업방향을 모색하고자 개최했다.

이번 평가에서 김해보건소는 금연 확산분위기를 조성하고자 경남금연지원센터와 연계 협력한 점과 민 관 학 합동 금연캠페인 전개, 담배연기 없는 금연환경 조성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우수기관장에 선정됐다.
허 목 보건소장은 "금연운동은 시민들을 간접흡연으로부터 보호하는 일인 만큼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금연캠페인을 전개해 김해시가 담배연기 없는 건강도시로 발돋움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해시 경남도 산사태 예방 대응 평가에서 우수기관 선정
김해시가 경남도의 산사태 예방과 대응 시 군 평가에서 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
평가는 도내 18개 시 군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평가 내용으로는 주로 산사태 예방과 홍보와 주민 대피, 산사태 취약지역 관리체계 구축, 추진실적 우수사례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했다.

평가 항목은 '산사태 대피훈련 추진'과 '산사태 발생 우려 지역 실태조사 추진' '산사태 예방 대응 홍보 실적' '산사태 예방 대응 모범사례' '산사태 취약지역 내 입 간판 설치' 등이다.
시는 산사태 취약지역 지정 확대와 산사태 취약지 주민 대피, 구호 체계 수립 등 산사태 예방과 인명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