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10년간 식량용 쌀 소비량이 약 15%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집에서 밥을 지어 먹는 사람이 적어지며 쌀 소비가 계속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3일 ‘농업전망 2025’ 보고서를 통해 식량용 쌀 소비량이 올해 273만톤, 내년 269만톤, 오는 2030년 253만톤, 2035년 233만톤을 기록하는 등 매년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10년 뒤인 2035년 식량용 쌀 소비량 전망치는 올해 소비량 예상치와 비교해 14.7% 적은 수준이다.
식량용 쌀 소비 감소는 식생활 변화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2014∼2023년 소비량은 서구화한 식문화와 대체 식품 소비 증가 등에 따라 연평균 1.6% 감소했다. 쌀 소비 감소세는 지난해에도 계속됐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 1인당 평균 식량용 쌀 소비량은 55.8kg으로, 관련 조사가 시작된 1962년 이래 가장 적었다. 이는 30년 전인 1994년 소비량(120.5kg)의 절반 수준이다.
농경연은 아침 식사를 거르는 식습관도 쌀 소비 감소 원인 중 하나로 꼽았다. 농경연은 “식품 소비 행태 조사 결과 1주 중 아침 결식 횟수는 2021년 1.44회에서 작년 1.79회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다만 농경연은 즉석밥과 도시락, 떡 등에 들어가는 가공용 쌀 소비는 점차 늘어 올해 77만톤에서 2035년 94만톤으로 22.1%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그러나 가공용 쌀 소비량은 식량용 쌀 소비량의 3분의 1 수준인 만큼, 전체 쌀 소비 감소세를 막기에는 부족하다는 평가다.
농경연은 식량용과 가공용 쌀 소비량을 합친 전체 쌀 소비량은 올해 350만톤에서 2035년 327만톤으로 6.6% 줄어든다고 내다봤다.
지난해 정부는 산지 쌀값 하락을 막기 위해 햅쌀 20만톤을 사들여 시장에서 격리하고 벼 매입자금 지원을 늘리는 대책을 발표했지만 수확기(10∼12월) 산지 쌀값을 목표치인 ‘80㎏에 20만원’으로 끌어올리지는 못했다. 산지에서 재고 처리를 위해 저가 판매에 나서면서 수확기 산지 쌀값은 80kg에 18만4700원으로, 18만원대에 머물렀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산지 쌀값 하락이 쌀 과잉 생산으로 인한 구조적인 문제라고 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올해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벼 재배면적을 8만㏊(헥타르·1㏊=1만㎡)를 줄이겠다는 방향을 제시했다. 감축 목표 면적은 지난해 벼 재배면적(69만8000㏊)의 11%에 해당하고, 여의도(290㏊)의 276배와 맞먹는다.
농식품부는 양곡관리법 개정안의 대안을 마련해 국회와 논의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