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4일 오세훈 서울시장, 홍준표 대구시장 등 여권 대선주자들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의 1대 1 가상대결에서 접전이라는 여론조사 결과에 관해 “따끔한 충고 같다”고 평했다.
김 전 총리는 이날 KBC 여의도초대석에 출연해 “대통령 탄핵과 정권교체 여론이 과반이 훨씬 넘는데도 불구하고 이런 결과가 나온다는 건 우리 민주당 존재 이유라고 할 수 있는 다양성, 민주성, 포용성, 이런 것들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국민들이 봤을 때 좀 믿음직스러운 모습을 보이라는 따끔한 충고 같다”고 밝혔다.
그는 “그 분들이 잘해서 올라간 건 아닐 것”이라면서도 “민주당 사태 수습이 좀 미흡한 데서 오는 반사이익이 아닌가 싶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여전히 한국 정치 지형 자체가 51대 49 팽팽한 상황인 건 틀림 없는 것 같다”고도 전했다.
이재명 대표가 선호도와 비선호도 모두 1위인 점에 관해서는 “이런저런 이야기에 일일이 다 답을 드릴 수는 없다”라면서 “이 대표도 사실은 좀 억울한 점도 있겠다”고 답했다.
이어 “그동안 윤석열 정권 검찰에 의해 샅샅이 다 털리면서 여러 가지 재판도 받고 하는 과정에서 국민적인 낙인이 찍혔다고 할까. 아마 그런 부분도 있을 것”이라며 “과거 어떤 리더들보다 강력하게 당을 끌고 가는데 대한 국민적인 우려도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김 전 총리는 “이 문제 극복은 민주당 생명이라고 할 수 있는 포용성, 다양성, 민주성 이런 것들이 정말 국민들 눈에 보이는 그런 당 운영으로 이 대표 스스로 본인과 국민과의 사이를 더 좁혀야 된다”고 조언했다.
김 전 총리는 이 대표의 최근 우클릭 행보에 관해서도 “비판도 있지만 정책에 있어서는 국민들이 답답해하는 문제를 하나하나 돌파해 나가겠다는 그런 측면에서 실용적인 말씀과 움직임을 하는 것 같다”며 “본인이 계속 노력을 하고 있다”고 평했다.
‘이재명 대표가 우클릭을 안 해서 아니면 실용주의가 아니어서 비호감도가 높은 건 또 아니지 않느냐’는 물음엔 “사실은 예를 들면 반도체 특별법이라든가 몇몇 부분들에 있어서 어찌 보면 우리 당을 오랫동안 지지해 왔던 분들 입장에 대해서 우리가 너무 겁을 냈다”라며 “나라 전체가 가야 할 방향이라면 그분들을 설득을 해서라도 우리가 적극적으로 나가야 한다”고 답했다.
임종석 전 비서실장이 충청에서 패한 이 대표에게 성찰하라고 지적한 점에 대해선 “문재인 정부 한 축을 담당했던 사람으로서 일부 민주당 적극 지지자들이 지난 대선 패배 책임을 문재인 정부에 넘기는 것에 대해 그건 아니라고 반론을 편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런데 이건 임 전 실장이 이야기한 대로 우리가 사실은 대선에 대한 평가를 못 하다 보니까 이런저런 이야기가 나오지만 당시 이재명 후보가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고 본인이 여러 가지로 부족해서 진 거다. 이런 문제 가지고 우리 내부에서 다른 분란이 일어나지 않았으면 좋겠다'라고 분열이 싹이 될 만한 이야기들을 이미 정리 했다”고 덧붙였다.
‘이 대표 지지자들이 ‘너네 수박(겉과 속이 다르다는 의미로 비이재명계 인사를 부르는 은어) 때문에 진 거 아니냐’고 계속 그러는데 어떻게 이해를 해야 하느냐’는 물음에 김 전 총리는 “국민 입장에서 봐야한다. 국민들이 그렇게 생각할까”라며 “적극 지지자들로서는 그렇게 하면 편하긴 하겠지만 그렇게 스스로 편한 것이 뭐가 중요한가”라고 되물었다.
대선 출마 질문엔 “대한민국 미래를 위한 역할이 있다면 저도 열심히 하겠다. 마다하지 않겠다. 그런 입장”이라고 밝혔다.
김 전 총리는 이밖에 오는 7일 광주 5.18 국립묘지 참배가 사실상 대권 선언이 아니냐는 질문엔 선을 그었다.
그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 문제가 어느 정도 가닥이 잡히면 그때는 제가 입장을 분명히 밝힐 수 있지만 그전에 지금 대선 운운하는 것은 국민들에 대한 예의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