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피해자들의 의료비를 정부에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또 이번 참사로 부모를 잃은 아동 4명에 대해 전문적인 돌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 장관은 6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제2차 12·29 여객기 참사 진상 규명과 피해자 및 유가족의 피해 구제를 위한 특별위원회’에서 제주항공 참사 피해자들의 치료비 지원책을 묻는 권향엽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의에 대해 “이태원 참사 때와 동일하게 회복될 때까지 국가, 지자체, 건강보험공단이 힘을 합쳐 대상자 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재난 피해자를 대상으로 한 장기적인 추적 연구 필요성에 대해 “전적으로 동의한다”면서 “행정안전부에서 추적조사 용역비로 3억원을 반영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효율적으로 집행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피력했다. 이번 참사로 세 가구에서 4명의 아동이 부모를 잃은 것과 관련해선 “긴급돌봄 서비스처럼 아동을 실질적으로 케어할 수 있는 분들이 있어야 한다”라며 요양보호사나 아동복지센터 전문가의 도움이 절실하다고 했다.
앞서 복지부는 참사 이후 현장진료소 운영과 장례지도사 파견, 유가족 심리 지원 서비스 및 긴급 돌봄 서비스를 제공했다. 또 유가족들의 민생 지원을 위해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성금으로 희생자 1인당 300만원의 긴급 생계비를 전달했다. 유가족과 부상자를 대상으로 건강보험료 6개월 경감과 국민연금 보험료 1년 납부 예외도 적용했다.
복지부는 앞으로 트라우마센터와 정신건강복지센터를 통해 유가족과 현장 수습 인력 등이 사고 후유증을 극복하고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전문적 심리 지원을 제공할 방침이다. 김혜진 복지부 기획조정실장은 “유가족과 부상자 가족에 대해 전담 공무원을 통한 심리 지원 서비스 안내를 강화하고, 전문적 치료가 필요한 고위험군은 의료기관과 연계해 주기적 모니터링을 실시하겠다”라며 “소방·경찰 등 현장 인력은 국가권역트라우마센터의 회복 소진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