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자원공사 내부에서 잇따라 성범죄가 적발되면서 내부 기강 해이 및 자정 능력에 대한 의심이 이어지고 있다. 자체 감사 기능을 강화하고 성범죄 전담 대응조직인 권익보호센터를 신설하는 등 대책을 마련했지만 실제 효과가 미미하다는 지적이다.
25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한국수자원공사에서 총 10명이 징계를 받았다. 세부적으로 파면 2명, 정직 4명, 감봉, 1명, 견책 3명 등이다. 파면된 2명은 모두 성범죄를 저질렀다.
강제추행 등 성범죄를 저지른 A직원은 지난해 12월 파면됐고, 여직원 신체를 몰래 찍은 B직원도 비슷한 시기 회사를 떠났다.
문제는 공사 내부에서 성범죄를 저지른 2명을 이미 파면 또는 강등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또 다른 성범죄가 재발했다는 것이다.
앞서 수자원공사는 C댐 지사에 근무하는 한 직원이 여직원을 대상으로 4개월가량 성범죄를 저지른 것으로 파악하고 지난해 3분기 인사위원회를 열어 파면 조치했다.
D댐 지사에서도 차장직급인 3급 직원이 성추행·성 비위를 저지르고 특정 직원을 괴롭힌 것으로 조사됐다.
공사는 해당 직원을 3급에서 4급으로 강등 조치하며 재발 방지를 약속했지만, 불과 몇 개월 만에 내부 성범죄가 재발했다.
수자원공사는 지난해 초 내부 성범죄 전담 대응조직인 권익보호센터를 설립했다. 그러나 이러한 성범죄 문제가 연이어 지적되면서 센터의 역할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권익보호센터는 내부 성 인식 개선을 위해 올해부터 더욱 적극적으로 대응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공사 측은 지난해 연말 외부 전문기관으로부터 받은 컨설팅 방안을 현장에 적용하고, 찾아가는 현장 교육, 전직원 대상 교육 안내물을 배포하는 등 감사부서와 함께 기강 잡기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공사 관계자는 “성범죄 발생 시 즉각적인 가해자·피해자 분리 조치 후 엄정하게 대처하고 있다”며 “성범죄 예방을 위해 찾아가는 현장 교육을 실시하고 외부 전문기관에서 컨설팅 받은 것을 토대로 직원들 성 인식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