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미세먼지 문제 등 공기 질에 대한 국민 관심이 높아지면서 유해가스 중 하나인 이산화질소(NOX)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개발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산화질소 가스의 경우, 0.01%(100 ppm) 정도의 농도에도 지속적 노출된다면 기관지염, 폐기종, 위장병, 불면증의 원인이되기도 하며, 혈당 감소 또는 헤모글로빈의 증가를 가져오는 등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초미량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개발이 중요성이 더욱 커지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존 이산화질소 센서는 초미량에 대한 감지가 쉽지 않고 습도가 높은 환경이거나 다른 가스와 섞여있을 시, 성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위해 지상수 박사 연구팀은 주석 셀레나이드 화합물을 제조해 초미량의 가스도 감지하는 센서의 소재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특히, 지상수 박사 연구팀은 이산화질소의 감지 특성이 우수하지만 내습성 및 초미량 가스 감지에 대한 품질이 낮은 주석 셀레나이드 화합물에 대해 다양한 테스트 과정을 거치며 활용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화학적 개질 특성을 가진 특수 첨가제를 적용해 결함이 적고 품질이 우수한 새로운 형태의 주석 셀레나이드 화합물을 제조했다.
그 결과, 이산화질소의 농도가 약 12.5 ppb(10억 분의 1)의 초저농도에서도 감지가 가능하고, 습도가 높은 상황에서 주변 다른 가스의 농도가 이산화질소보다 약 500% 가량 높게 존재해도 일정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지상수 박사는 "이산화질소 센서의 습도 안정성 및 내구성 난제를 극복한 소재를 제시했다"며 "이는 대기환경모니터링 센서로 즉각 활용 가능하며 최근 인체의 날숨 내 초저농도의 가스를 분석해 질병을 조기진단하는 센서에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진주=강연만 기자 kk77@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