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거석 전북교육감은 “전북의 심각한 학령인구 감소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학생들이 스스로 찾아오는 교육 환경을 만드는 것이 필수적”이라며 “특성화고 학과 재구조화와 소규모 학교 활성화 정책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지역 산업과 연계한 실무 중심의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졸업 후에도 전북에 머물며 일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서 교육감은 “농촌유학 프로그램은 단순히 학생 수를 늘리는 것을 넘어 도시와 농촌 학생들이 서로 교류하며 상생하는 좋은 사례”라며 “앞으로 농촌유학을 더욱 확대하고 다양한 생태체험 활동을 강화해 우리 학교에 활력을 불어넣겠다”고 말했다.
서 교육감은 “어울림학교 정책의 성공 비결은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학교마다 특색 있는 교육과정을 운영한 것”이라며 “이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전북 내 소규모 학교들이 폐교 위기를 극복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원도심학교 활성화는 지역사회와 긴밀히 협력하여 특색 있는 교육과정을 만드는 것이 핵심”이라며 “앞으로 원도심 특유의 문화를 반영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원해 지역과 학교가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서거석 교육감은 “소규모 학교 활성화는 단지 학생 수를 늘리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학교에서 만족스럽고 의미 있는 교육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전북교육청은 앞으로도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와 교육의 질 향상에 더욱힘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서 교육감은 또 “특성화고 활성화 전략은 학생들이 졸업 후 바로 현장에 투입될 수 있는 인재로 키우는 것이 목적”이라며 “수소융합, 배터리융합 등 첨단 산업과 연계한 학과 개편을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해 전북지역 산업 발전과 취업률 향상을 이루겠다”고 말했다.
또한 “학생들이 전북을 떠나는 주요 이유는 지역 내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하기 때문”이라며 “지역 기업 및 기관들과의 협력을 통해 특성화고 학생들에게 안정적인 취업 기회를 늘려 학령인구 유출 문제를 반드시 해결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