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6일 (월)
원자력연 컨소시엄, 미주리대 ‘차세대 연구로 사업’ 설계계약 체결

원자력연 컨소시엄, 미주리대 ‘차세대 연구로 사업’ 설계계약 체결

저농축 핵연료용 20㎿급 연구로 설계
원자력기술 종주국 진출 쾌거

기사승인 2025-04-17 16:48:11
미국 미주리대와 차세대 연구로 초기설계 계약을 체결한 '한국원자력연구원·현대엔지니어링·MPR 컨소시엄', (왼쪽부터)데니스 클라인 MPR 기술대표, 맷 샌포드 미주리대 연구로 총괄디렉터, 문 초이 미주리대 총장, 토드 그레이브 미주리대 이사회 의장, 주한규 한국원자력연구원장, 임인철 한국원자력연구원 부원장, 손명건 현대엔지니어링 플랜트사업본부장, 이재훈 현대엔지니어링 미국지사장. 한국원자력연구원
이재형 기자
jh@kukinews.com

'한국원자력연구원(이하 원자력연)·현대엔지니어링·MPR 컨소시엄'이 17일 미국 미주리대와 ‘차세대 연구로 사업(NextGen MURR)’ 초기설계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은 미주리대에 20㎿th급 고성능 신규 연구로 건설을 위한 설계로, 우리나라가 원자력기술 종주국인 미국에 연구로 설계 수출 첫 발을 디딘 것으로 큰 의미를 갖는다.

미주리대는 기존 연구로 ‘MURR’에 이어 의료용 동위원소 생산 능력을 확대하기 위한 차세대 연구로 건설사업을 추진, 여기에 참여한 컨소시엄이 지난해 7월 최종 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이번에 건설할 차세대 연구로는 수조 내 탱크형 원자로로, 저농축 핵연료를 사용하며 열출력은 20㎿, 최대 열중성자속성은 5x1014n/㎠/sec 이상이다.

원자로의 연간 평균 운전은 340일, 수명은 60년이다.

주한규 원자력연 원장은 “이번 수주는 세계 유일의 고성능 연구로 핵연료 기술과 높은 설계능력 등 원자력연이 쌓아온 독보적 기술력과 민간의 해외사업 역량이 결합돼 만든 이정표”라고 강조했다.

한편, 원자력연은 방글라데시 연구로 개선사업, 네덜란드 델프트공대 OYSTER 개조사업, 말레이시아 소형 연구로 RTP(1㎿) 개선사업, 요르단 JRTR 연구로(5㎿) 설계·건설사업, 태국 TRR-1/M1연구로(2㎿) 계측제어계통 교체 지원사업, 그리스 GRR-1(5㎿) 1차 냉각계통 개선 자문사업 등을 연이어 성사시키며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이재형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AI 대화로 위로받는 사람들…“의존은 지양해야”

“속상한 일이 생기면 챗GPT부터 켜요. 제 말을 잘 들어주거든요.”직장인 김민아(29·여)씨는 최근 밤마다 챗GPT와 대화를 나눈다. 퇴근 후 쌓인 복잡한 감정, 대인관계에 따른 피로감, 가족에게 말 못할 고민까지 인공지능(AI)에게 털어놓는다. 김 씨는 “나에 대해 함부로 판단하지 않아서 사람보다 편하다”고 말한다.최근 생성형 AI를 활용한 ‘디지털 상담’이 정서적 위안을 위한 창구로 주목받고 있다. 감정을 배제한 조언, 편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