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역량 있는 2차 종합병원에 연간 7000억원을 투입해 집중 육성에 나선다.
보건복지부는 24일 제8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건정심)를 개최하고 ‘포괄 2차 종합병원 지원 사업’에 대해 논의했다.
정부는 종합병원과 전문병원을 키워 환자들이 수도권 대형병원으로 쏠리지 않도록 하는 ‘포괄 2차 종합병원 육성 방안’을 추진 중이다. 포괄 2차 병원은 필수의료와 응급의료 기능을 모두 갖추고 급성기부터 만성기까지 환자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지역 종합병원을 뜻한다. 포괄 2차 종합병원으로 선정된 기관은 △적정 진료 △진료 효과성 강화 △지역의료 문제 해결 △진료 협력 강화 등 4대 기능 혁신을 이행해야 한다.
정부는 포괄 2차 종합병원이 24시간 진료 등 필수기능을 수행하면 성과지원금으로 연간 7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복지부는 “상급종합병원이 중증 중심으로 전환하면서 2차 병원의 진료가 활성화된 지금이 2차 병원 역량 강화의 적기다”라며 “지원사업을 통해 지역 종합병원을 지역 주민이 수도권 상급종합병원에 가지 않더라도 안심하고 진료받을 수 있는 곳으로 전환해 지역 완결적 의료전달체계를 확립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또 고위험 산모·태아 집중치료실(MFICU) 5개, 신생아 집중치료실(NICU) 15개 이상을 갖춘 중증 치료기관은 현행 최대 4억8000만원에서 9억5000만원까지 보상을 확대한다. 복지부는 “고위험 임산부와 신생아 진료를 독려하고 진료 환경이 나아질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방안을 강구할 것”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복지부는 국가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기능 보상 시범사업’을 시행한다. 이를 통해 국립중앙의료원에 필수의료 특성화 기능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설정하고, 최대 4억원의 사후 인센티브를 지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