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 전문 공무원으로부터 받는 체계적인 자전거 교육

자전거 전문 공무원으로부터 받는 체계적인 자전거 교육

전국 지자체 자전거 담당 공무원, 입문부터 실습까지 원스톱 교육

기사승인 2025-04-27 09:37:52
㈔한국자전거정책연합에서 자전거 전문가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한국자전거정책연합

자전거인구 1500만 명 시대, 자전거정책을 체계적으로 학습하는 전문가 교육과정이 운영된다. 

사단법인 한국자전거정책연합은 4월 23일부터 25일까지 3일간 제주에서 자전거정책 전문가 교육과정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올해로 9회째를 맞는 교육은 전국의 지자체 자전거담당 공무원과 관련 업무 담당자가 대상이다. 

강의과목은 실무에 필요한 내용들로 12개 과목이다. ▲자전거입문 ▲자전거관련 법률 ▲자전거와 지역경제 ▲자전거이용시설 설치 및 관리 현장실습 ▲자전거이용 활성화계획 수립요령 ▲ 자전거와 탄소중립 등이다. 

강사진은 자전거 관련 연구와 실무경력이 20년 이상인 이재영박사(한국자전거정책연합 회장), 오수보대표(자전거21 대표), 정경옥박사(한국교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전우훈박사(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위원), 박태원 교수(한국도시설계학회 회장) 등 국내 자전거 권위자들이 강사진으로 참여하고 있다.
 
교육과정을 개설한 한국자전거정책연합의 이재영 회장은 "자전거가 기후위기 대안이라고 하지만 투자는 상대적으로 매우 소극적“이라며 ”도로 예산이 한 해 8조 원을 넘어설 때, 자전거 예산은 50억 원 수준에 머물러 있을 뿐만 아니라 정책방향의 문제“라고 전했다.

이재영 회장은 ”2010년 이후 자전거도로 연장은 2배가 되었지만 자전거분담률은 2021년 기준 1.5%로 오히려 낮아졌다“며 ”방향의 전환이 필요해 보인다, 전문가들이 나서게 된 이유이기도 하다“고 강조했다.

교육에 참가한 참가자 지자체 공무원 A 씨는 ”순환근무로 인해 자전거업무를 알고 적응할 시간도 없이 자전거정책을 계획하고 시행해야 하는 어려움이 컸었다“며 ”특히 정책을 하기 전에 꼭 알아야 하는 관련법뿐 아니라 계획, 도로의 설계 등 전문성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번에 많은 도움이 됐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편, 행정안전부가 후원한 이번 교육에는 각 지자체에서 90명의 공무원이 참여했다. 참가자의 95%가 교육내용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명정삼 기자
mjsbroad@kukinews.com
명정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