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령실은 유네스코가 일본 강제동원 현장인 ‘군함도’(일본명 하시마) 세계문화유산 등재 후속 조처 안건을 다루지 않기로 결정한 것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다.
대통령실은 8일 입장문을 통해 “근대산업시설 관련 의제가 정식 안건으로 채택되지 않게 돼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앞서 7일(현지시각)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제47차 회의에서 메이지 산업유산 관련 ‘이행 상황에 대한 평가’ 안건의 정식 채택 여부가 논의됐으나 부결됐다.
정부는 일본이 세계유산 등재 당시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며 위원회 회의에서 이를 다시 점검해야 한다는 취지의 안건 채택을 촉구했다. 그러나 일본은 반대 입장을 보이며 해당 안건이 삭제된 수정안을 제출했다.
우리 측이 표결을 요청했으나 일본이 제출한 수정안이 채택됐다. 21개 위원국 중 7개 국가가 일본측 수정안에 찬성했고, 3개 국가만 반대표를 던졌다. 8개 국가는 기권했고 무효는 3표였다.
대통령실은 “우리 정부는 일본이 근대산업시설과 관련하여 스스로 한 약속과 이 약속이 포함된 세계유산위원회의 결정을 충실히 이행해야 한다는 입장”이라며 “앞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이 문제를 계속 제기해나갈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