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일 후보자 7명의 면접이 치러진 가운데 현 정부 기관장 2명을 비롯해 대형 영화제작사 CEO 출신의 교수, 지역 영상위원회 위원장 출신의 영화제작사 대표와 감독 출신의 교수까지 5명으로 압축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보여 온 행적들에 비춰볼 때 현 정부 기관장(직무 대행)과 CEO 출신의 교수는 진보적 성향에 가깝고, 또 다른 현 정부 기관장과 감독 출신 교수는 보수적 성향을 띤다. 또 일부 언론에서 비판한 대로 이들 5명 가운데는 청와대 인사와 같은 모임 회원도 있고 고교 동창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각축이 치열해지면서 각 후보자들의 장점보다는 단점이 부각되고 있다. 청와대 인사와 고교 동창으로 알려진 현 기관장 직무 대행은 부위원장 시절, 자신의 조직을 공개 석상에서 비판한 경력이 거론되고 있다. 받아들이는 입장에 따라 박수를 받을 수도 힐난을 받을 수도 있는 행동이나, 정부 기관장을 지원하는 현 시점에서는 공직자로서의 부적절한 처신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진보 인사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고 알려진 CEO 출신 교수는 한국 영화산업의 규모를 키운 대표적 인물인데, 결과적으로 ‘거품’을 조성했다는 평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또 위원장이 됐을 경우, CEO 시절 영화 제작을 함께 주도한 제작자이자 현재 같은 대학 교수로 재직 중인 인사에 대한 편향 지원도 우려되고 있다.
가시권에 들었다고 평가되는 보수 진영의 기관장도 일부 언론이 문제제기 했듯, 현재 맡고 있는 기관에 대한 잔여 임기의 책임이 도의적 측면에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지역 영상위원회 출신인 영화사 대표도 현 기관장 직무 대행과 마찬가지로 과거 진보 성향의 행동이 기관장 등용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절대 강자가 부각되지 않는 상황에서 한 영화계 관계자는 “차기 영진위 위원장은 권력 기관 등과 연결된 개인적 인맥으로 뽑혀서는 안 된다”며 공익을 위해 산적한 영화계 현안을 해결해 나갈 인물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영진위 같은 공기업은 수익을 내는 기관이 아니다. 지원금을 공정하게 분배하는 임무가 가장 중요하다”며 “특정한 쪽에만 일방적으로 지원해 박탈감을 줘서는 곤란하다”고 밝혔다.
제2의 도약을 준비하는 대한민국 영화계, 힘 있는 추진력과 더불어 합리적 행정력을 지닌 인물이 임용되기를 기대한다. 국민일보 쿠키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