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블업계 “KT ‘IPTV+위성’ 결합상품 중단해야”

케이블업계 “KT ‘IPTV+위성’ 결합상품 중단해야”

기사승인 2011-04-18 13:20:01
[쿠키 문화]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등 케이블TV 업계가 KT의 결합상품 OTS(올레TV스카이라이프)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한국케이블TV방송사업자(SO)협의회는 18일 성명을 통해 “KT가 자회사 위성방송을 결합해 ‘방송+방송’이라는 유례없는 변종 결합상품인 OTS를 내놓으며 저가 경쟁을 주도하고 있다”면서 “KT는 IPTV 사업권을 반납해야 하며 정부는 유료방송과 결합상품 요금에 대해 엄격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협의회도 같은 날 성명을 내고 “방송통신 결합상품의 경쟁 속에서 유료방송은 사은품으로 전락했다”며 “이런 식으로 가다가는 정당하게 받아야 할 PP의 프로그램 사용료는 점차 사라지고 거대한 통신시장의 살만 더 찌우게 될 것이므로 정부가 유료방송 출혈 경쟁 방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SO와 PP를 아우르고 있는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KCTA)도 이날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방송 간 결합상품인 OTS는 방송정책에 맞지 않는 상품이므로 시장에서 퇴출해야 한다”며 “유료방송시장의 공정경쟁 환경 구축을 위해 KT의 시장지배력 전이를 막을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기자회견에서 길종섭 KCTA 협회장은 “IPTV에 대해 정부가 유료방송 발전과 고용창출을 위해 많은 지원을 했지만 결과적으로 IPTV는 통신서비스를 위한 사은품으로 취급당하고 있다”며 “KT와 대화를 통한 해결이 불가능하다면 민·형사상 소송도 불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병호 PP협의회장은 “OST는 사실상 신규 서비스인 만큼 KT와 스카이라이프가 PP들에게 별도 계약을 통해 보상해야 한다”며 “이를 거부한다면 스카이라이프에 대한 콘텐츠 공급 중단도 고려하겠다”고 강조했다.

OTS 상품은 KT의 IPTV인 올레TV의 주문형 비디오(VOD)와 초고속인터넷, 스카이라이프의 위성방송 서비스를 결합한 상품이다. 가장 싼 상품의 경우 한 달 3만2000원에 이용할 수 있어 가격경쟁력이 높다. 이는 스카이라이프의 가입자 확보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2009년 8월 출시한 OTS는 하루 평균 3500가구씩 늘어 1월 기준 가입자는 전체 IPTV 가입자 318만의 절반을 훌쩍 넘는 180만으로 늘었다.

OTS 상품을 동력으로 삼아 IPTV는 디지털 유료방송 시장에서 가입자 기준으로 케이블TV(340만가구)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성장해 케이블TV를 위협하고 있다.

이런 흐르이 이어지자 케이블TV 업계는 위성방송 사업권이 없는 KT가 실질적으로 위성방송 상품인 OTS를 판매하고 있으며 부당한 내부지원을 통해 유료방송 시장을 교란하고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이에 대해 KT는 OTS 상품이 방통위의 인가가 난 상품이고, SO들의 결합상품 역시 OTS 못지않게 저가라는 사실을 강조하며 반박하고 있다.

KT 관계자는 “OTS는 방통위에서 인가를 받은 방송통신 컨버전스 상품임에도 SO들이 상품 경쟁력을 강화하기 보다는 IPTV의 채널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데만 집중하고 있다”며 “케이블TV 업계가 덤핑가격경쟁으로 힘들다는 것이 주장의 골자지만 주요 SO들의 실적은 호전되고 있으며 방송 매출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케이블TV 회사들은 이미 통신시장에 진입해 300만명 가까운 인터넷 가입자를 확보하며 방송과 통신시장에서 모두 영업을 하고 있다”며 “방송과 통신이 결합한 상품으로는 케이블 업계가 내놓은 것 중 저렴한 것이 더 많다. SO들의 저가 경쟁이 오히려 유료방송의 정상화를 저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팀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