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기안전공사 박철곤 사장은 원전 가동 정지가 발표된 지난달 28일 귀국을 서둘렀다. 애초 5박 7일 일정으로 포르투갈 리스본에 도착, 국제전기안전연맹의 행사를 끝까지 지켜볼 예정이었으나 갑작스런 소식에 일정을 3박 5일로 줄이고 서울행 비행기를 탔다.
귀국하자마자 전국의 지역본부장 13명을 불러 모았다. 그러고는 “전력난 극복을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을 하자”고 강조했다. 국민에게 자율적 절전을 호소하자는 것이었다. 그는 11일 서울 명일동 전기안전공사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각 건물과 가정에 전기 안전을 점검하러 다니는 전국의 2600여명 공사 직원은 국민과의 접점이 한전에 비해 훨씬 넓습니다. 단순히 검사만 하고 오지 말고 절전을 설득하고 절전용 설비를 설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고 했다.
전기안전공사가 원전 가동 정지에 직접적인 책임이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는 전기관련 공기업의 수장으로서 도의적 책임감을 느낀다고 했다. “우리 소관이 아니라고 말하는 것은 무책임합니다. 무엇보다 대규모 정전과 같은 큰 불행이 일어나지 않도록 힘을 모아야 합니다.” 전기안전공사는 현재 관리 중인 전국의 비상발전기 6만2000여대에 대한 검사를 강화해 유사시 제대로 가동이 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
지난 1일로 취임 2년을 맞은 박 사장은 그동안 조직문화를 싹 바꿔놨다고 자평했다. 이른바 ‘주식시장형 인사시스템’을 도입해 열심히 일한 직원에게 인사상 이익이 돌아가도록 했다. 중간 간부들로 하여금 일하고 싶은 직원을 선택하도록 한 것이다. 자신은 ‘시장 교란’을 막기 위해 인사청탁을 한 차례도 받지 않았다. 수요자 중심으로 전기 안전 검사 업무를 하도록 직원 인식도 변화시켰다.
박 사장은 전기 안전 분야에서 제3자 검사가 더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전기안전공사의 업무 영역은 주로 일반 건물과 가정이다. 좀 더 규모가 큰 송전선로는 대부분 한전이 관할한다. 하지만 외부 업체에 안전검사를 맡긴 뒤 담당자가 승인하는 현 한전의 업무 방식으로는 전기안전사고를 제대로 예방하기 어렵다는 게 그의 지론이다.
전기안전공사는 내년 5월 전북혁신도시로 청사 이전이 예정돼있다. 임기 3년인 그의 입장에서는 새 청사만 지어주고 조직을 떠나야 한다. 그럼에도 새 청사를 디자인하는 데 그의 아이디어가 크게 반영됐다. “새 청사는 소통의 상징인 북과 미래로 나아간다는 뜻의 우주선 형상입니다. 지난 2년간 바뀐 조직의 모습이 제도를 넘어 문화로 정착되길 바랍니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
[인기 기사]
▶ 아! 월드컵 본선 진출권은 마지막 날로… 이란, 레바논 골문에 맹폭
▶ 할머니 노점상 수박을 발로 뻥!…대구 패륜남 동영상 파문
▶ “팀 경기 은메달도 값진 것”…리듬체조 손연재의 A급 소감
▶ 의류 매장에서 옷 훔친 걸그룹 가비엔제이 리더 노시현의 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