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M채널 지방에 집중… 대량 실직사태 우려
[쿠키 경제] 사상 초유의 개인정보유출 사건으로 전화영업(TM)금지 조치가 내려지면서 지방자치단체(지자체)까지 후폭풍이 미치고 있다. 그동안 지자체에서는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위해 너도나도 보험사 TM센터를 유치했기 때문이다. 이에 일부 지자체는 자칫 이번 금지조치가 대량 실직 사태로 이어져 지역경제에 악영향이 미치지는 않을까 노심초사 하는 분위기다.
28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신한생명, 라이나생명, 동양생명, 삼성화재, 동부화재, 롯데손보 등 거의 대부분의 보험사들이 지방에 대규모 TM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신한생명은 부산, 전주, 목포 등에 1000석 가량의 TM센터를 설치했고, 라이나생명도 대구에 800명 규모의 상담사가 있다. 동양생명도 청주 등에 200석 가량 자리를 잡았다. 손해보험사도 삼성화재, 동부화재, 롯데손보, 메리츠화재 등이 부산, 대전, 전주 등에 800~1000석 가량의 대규모 TM채널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보험사들이 지방에 TM채널을 많이 두는 이유는 서울에 비해 상담사 인력을 구하기 용이하고, 부동산 임대료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해당 지자체에서 일자리 창출을 위해 다양한 혜택을 주며 기업들을 유혹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대부분의 지자체에서는 경쟁적으로 TM센터를 유치하기 위해 일정 기준을 충족하면 상담사 1명당 50만~100만원의 교육보조금이나 시설보조금 등을 지원해주고 있고, 자체적으로 교육센터까지 만들어 고능률 상담사를 배출하는 지자체도 있다. 보험사 입장에서는 그만큼 매력적인 카드인 셈이다.
하지만 이번 전화영업 금지 조치로 인해 해당 보험사뿐만 아니라 상당비율의 TM채널이 있는 지자체도 난감한 표정이 역력하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현재 우리 지자체의 경우 TM센터로 인한 경제적 파급효과가 3000억원 가량으로 추산되고 있고, 앞으로도 더욱 많은 기업의 TM센터를 유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이번 사건으로 인해 자칫 TM채널 축소, 영업부진으로 대량 실직사태가 벌어져 지역경제 활성화 측면에 악영향이 미치지는 않을까 걱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방의 한 TM채널 설계사는 “지금 일이 없는 것도 힘들지만 규제가 풀리고 나면 누가 TM을 통해 가입을 할지 의문이다”며 “지자체의 적극적인 홍보활동으로 자체 교육센터에서 교육도 받고, 나름 경쟁을 통해 보험사로 들어왔는데 자칫 일자리를 바꿔야 한다는 생각에 울분을 참을 수 없다”고 하소연했다.
금융당국도 당황스럽기는 마찬가지다. 예상외로 개인정보유출 후속대책 후폭풍이 워낙 거세기 때문이다. 이에 일부에서는 전화영업 금지기간을 조기에 해지해야 한다는 얘기가 조심스럽게 흘러나오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일부에서 금지 해지 얘기가 나오는데 현재로서는 아무것도 결정된 사항이 없다"며 "해당 관계자들이 피해가 없도록 관련대책을 계속해서 논의 중이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김재국 기자 jkkim@kuki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