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화상상봉·서신교환' 언급 왜?

朴대통령 '화상상봉·서신교환' 언급 왜?

기사승인 2014-03-04 23:00:00
[쿠키 정치] 박근혜 대통령이 4일 국무회의를 통해 남북 이산가족 서신교환 및 화상상봉 등 구체적인 이산가족 상봉 상례화 방법론을 언급한 것은 현재의 남북 이산가족 상봉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지난달 25일 끝난 금강산 상봉 행사처럼 남북 각각 100명 내외로 제한된 인원에게만 기회를 주는 현재의 상봉 방식으로는 80대 이상 고령인 이산가족 상당수가 생전에 재회 기회를 가질 수 없다는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직접 대면이 아니더라도 상시적인 서신교환과 화상대화를 통해 헤어진 가족들의 생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이들이 60여년 동안 짊어져왔던 한(恨)을 조금이나마 풀 수 있도록 하자는 차원이다.

지난 금강산 상봉 행사에서 몇몇 상봉자들은 건강상의 문제로 상봉장이 아닌 응급실에서 상봉행사를 가져야 했고, 행사 하루 만에 조기 귀환하는 이도 있었다. 또 치매로 정작 가족을 만나고도 알아보지 못하는 안타까운 사례도 있었다. 상봉자 선정과정에서도 건강 악화로 만남을 포기하거나, 상봉 행사만을 손꼽아 기다리다 숨져 끝내 혈육을 만나지 못하는 경우도 속속 발생하는 현실이다.

2011년 통일부가 이산가족 1만6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북한에 있는 가족과의 교류방법으로 ‘생사 확인’을 선호한다는 응답자가 40.4%로 가장 많았다. 직접 대면하지 않더라도 서로 생사를 확인하고 상시적으로 편지를 주고받거나 전화 또는 화상대화를 통해 얼굴과 목소리를 듣고 볼 수 있으면 좋겠다는 사람들이 대다수였던 셈이다. 지난 상봉 행사장에서도 녹음기를 직접 가져와 북측 가족의 육성을 녹음하는 남측 상봉자들이 많았다.

하루 또는 이틀 동안 혈육을 만난 뒤 헤어지고 나면 또 다시 생사여부도 모른 채 아무런 소식도 들을 수 없는 ‘제2의 이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서신교환과 화상상봉은 필수적이라는 게 이산가족 당사자들의 목소리다.

화상상봉은 이미 2005년 8월~2007년 11월 사이 7차례나 실시된 바 있는 방식이다. 당시 노무현정부와 김정일 북한 정권은 서울 부산 등 남한 내 13개 상봉실과 평양 고려호텔 내 10개 상봉실을 연결, 양측 이산가족 3748명이 영상통화를 통해 생사를 확인했다. 이미 양측의 화상상봉 인프라가 완비돼 있어 남북 당국이 합의만 하면 쉽게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산가족들의 자유로운 서신교환은 우리 측이 줄기차게 요구하고 있지만, 북측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
신창호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