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을 엉터리로 사용하는 행정기관으로 외교부와 기획재정부, 강원도가 지목됐다. 특히 외교부와 강원도는 3년 연속으로 국립국어원의 ‘행정기관 공공언어 진단’에서 최하등급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국어원은 중앙행정기관 42곳과 광역지방자치단체 17곳을 대상으로 하는 2013년 공공언어 진단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공공언어 진단은 2010년부터 진행됐으며 2011년부터 결과가 공개됐다.
700점 만점 중 664.0점을 받은 문화체육관광부가 1위, 662.5점의 법제처가 2위였다. 문화부와 문화재청은 2011년부터 줄곧 1등급(650.0점 이상)을 유지했다. 반면 강원도(591.0점)와 기획재정부(593.5점), 외교부(595.0점) 등이 꼴찌를 다퉜다. 외교부와 강원도는 줄곧 3등급(620.0점 미만)이었다. 전년도에 비해 순위가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곳은 50위에서 16위로 올라선 국세청이었다. 산림청은 전년도 5위에서 44위로 떨어졌다.
외교부에게는 “문서 작성 시 사전을 검색하라”는 낯 뜨거운 충고가 제시됐다. 짧은 성명이나 논평 등이 많은 외교부 보도자료는 다른 부처에 비해 분량이 적지만 틀린 곳이 많다는 지적이다. 예를 들어 베트남 수도 호찌민을 ‘호치민’으로,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를 ‘울란바타르’로 표기하는 등 외래어·로마자 표기를 지키지 않았다.
환경부는 ‘널리’를 쓸 곳에 ‘넓게’를 사용했고 ‘보존’을 쓸 곳에는 ‘보전’을 사용했다. 기획재정부도 “문장을 쓸 때는 반드시 종결형 어미와 함께 마침표를 쓰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초보적인 충고를 받았다. “1차 진단 때 지적받은 점이 2차 진단에서 조금도 나아지지 않은 점이 매우 아쉽다”는 평도 들었다. 고용노동부는 ‘수검자, 셧다운’ 등의 생소한 용어를 바로잡으라는 지적을 받았다.
국립국어원 진단은 A4용지 1~3장 이내 분량의 보도자료에서 1000개의 음절당 오류 숫자를 환산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표기가 정확한지, 어휘를 의미에 맞게 썼는지, 문장을 어법에 맞게 작성했는지, 쉽고 친숙한 용어와 어조를 썼는지 등을 평가했다.
국립국어원 관계자는 “어려운 행정언어가 개선되면 2010년 기준으로 5년간 570억원, 정책 용어가 개선되면 5년간 354억원이 절감된다는 조사결과가 있다”며 “올바른 국어사용을 확산시키기 위해 공무원 인사고과에서 혜택을 주는 방안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조했다. 전수민 기자 suminis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