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5일 (일)
[세월호 침몰 참사] 선박안전에 꼭 필요한 평형수 관리도 허점투성이

[세월호 침몰 참사] 선박안전에 꼭 필요한 평형수 관리도 허점투성이

기사승인 2014-04-24 18:11:00
[쿠키 사회] 배가 중심을 잡고 항해하는 데 필수적인 평형수(平衡水·밸러스트) 관리가 허점투성이인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선급(KR)의 선박검사 결과가 정작 화물 과적을 단속하는 당국에 전달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24일 해양수산부와 인천해양경찰서 등에 따르면 세월호가 선실을 증축하자 한국선급은 세월호에 대해 ‘구조변경 뒤 무게중심이 51㎝ 높아졌으므로 화물을 덜 싣고 평형수를 더 채우라’고 지시했다. 구체적으로 ‘화물량은 구조변경 전 2437t에서 987t으로 1450t을 줄이고 여객은 88t에서 83t으로 5t 축소해야 하며 평형수는 1023t에서 2030t으로 1007t을 늘려야 복원성이 유지된다’고 적시했다.

그런데 선박 출항 전 과적·과승을 단속하는 한국해운조합의 운항관리실에는 이 같은 정보가 통지되지 않았다. 한국선급의 조건부 통과의 요건은 ‘복원성 자료’에 담기는데 이 서류는 선주(船主)에게만 건네지기 때문이다. 한국선급은 검사를 통해 안전운행을 위한 조건을 제시했지만 정작 현장의 단속 담당자는 이런 사실을 모른 채 단속을 해온 것이다. 특히 선박운항관리자가 단속의 근거로 삼는 세월호의 운항관리규정에도 이런 사항은 담겨있지 않다. 결국 선주만 이런 요건을 알고 있다 보니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과적을 할 수 있는 유혹에 빠질 수 있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통상적으로 운항관리자도 일일이 화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배 측면에 표시된 만재흘수선(滿載吃水線·선박이 물에 잠기는 깊이를 표시한 선)을 보고 점검을 한다”고 말했다.

이러다 보니 선사(船社) 입장에서는 화물을 더 많이 실어 운송 수입을 챙기고 그만큼 평형수는 덜 싣는 식으로 만재흘수선을 적당히 맞춰 운행할 수 있는 여지가 생기게 된다.

한국선급의 검사 결과가 실제 현장의 단속의 지침으로 활용되지 못하는 제도상 허점이 이 같은 편법 운항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선박 개조 역시 당국의 허가가 아닌 한국선급의 검사만 통과하면 가능해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세월호는 일본에서 수입된 뒤 뱃머리 쪽에 있던 50t 무게의 사이드램프를 철거한 바 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
모규엽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AI 대화로 위로받는 사람들…“의존은 지양해야”

“속상한 일이 생기면 챗GPT부터 켜요. 제 말을 잘 들어주거든요.”직장인 김민아(29·여)씨는 최근 밤마다 챗GPT와 대화를 나눈다. 퇴근 후 쌓인 복잡한 감정, 대인관계에 따른 피로감, 가족에게 말 못할 고민까지 인공지능(AI)에게 털어놓는다. 김 씨는 “나에 대해 함부로 판단하지 않아서 사람보다 편하다”고 말한다.최근 생성형 AI를 활용한 ‘디지털 상담’이 정서적 위안을 위한 창구로 주목받고 있다. 감정을 배제한 조언, 편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