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웨어러블 건강관리 전세계가 관심

모바일·웨어러블 건강관리 전세계가 관심

기사승인 2014-05-07 10:58:00
모바일헬스 2017년 142조원, 웨어러블 2018년 매출 31조원 등 전망

[쿠키 건강] 전세계적으로 모바일헬스, 웨어러블기기를 활용한 건강관리 시장이 떠오를 전망이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은 최근 이슈 브리핑을 통해 'ICT를 활용한 주요 정보화 정책과 동향'을 소개했다. 우선 EU(유럽연합) 집행위원회가 모바일헬스(mHealth) 지원을 강화하고, 관련 정책 수립을 위해 공공 자문(Public Consultation)을 실시한 소식이 눈에 띈다.

모바일헬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PDA, 기타무선기기에 의해 지원되는 의료서비스를 총칭한다. 스마트폰, 환자 모니터링기기 등 모바일기기 활용을 통해 유럽 시민들의 건강관리 개선방안 수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올해 7월 3일까지 시행되는 EU 공공자문은 모든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이메일과 온라인을 통해 참여할 수 있으며, 집행위원회는 다양한 제안들의 요약본을 올해 4분기에 공개할 예정이다.

EU는 현재 다양한 모바일헬스 연구개발 프로젝트에 투자하고 있다. ‘NephronPlus’ 프로젝트는 신부전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폰으로 신장투석 모니터링으로 활용한다. ‘INTERSTRESS’ 프로젝트는 스트레스를 관리해주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있으며,
‘REACTION’ 프로젝트는 오스트리아 그라츠(Graz) 지역 병원 의료진이 모바일 시스템을 통한 업무 흐름을 대폭 개선하기로 했다.

EU 집행위원회는 “모바일헬스 시장이 가진 잠재력을 최대한 끌어낼 경우, 유럽 지역은 2017년 990억 유로(약 142조원)의 헬스케어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대신 애플리케이션의 안전성 보장, 데이터 활용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고, 이용 가능한 솔루션들의 상호호환성 확보등이 해결해야 할 주요 과제로 꼽히고 있다. 데이터보호 원칙 준수,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의료기기 여부 판단 등과 관련한 법률 제정도 과제로 지적됐다.


현재 전세계 모바일헬스 시장은 2017년에 176억유로(약25조원)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되며, 유럽(30%), 아태(30%), 북미(28%) 지역이
시장을 선도할 전망이다.
아이튠즈, 구글 플레이, 윈도우 마켓플레이스 등을 통해 구입
가능한 모바일헬스애플리케이션은 약 10만개에 달한다. 이 중 70%는 일반 소비자 대상 애플리케이션이며, 나머지30%는 의료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상태다.

◇웨어러블기기, 개인정보보호·보안 필수

모바일기기 중에서 건강관리에 가장 최적화되고
있는 제품은 웨어러블기기다.

시장조사기관 IDC는 향후 5년간 연평균 78.4%씩 성장해 오는2018년에는 웨어러블기기 출하량이 1억대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웨어러블기기는 약620만 달러(약 64억원) 규모로 전년대비 317.1% 급성장했다.

BBC리서치는 웨어러블기기의 2018년 연매출이 302억 달러(31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고, 이 중 스마트시계가 125억달러(13조원)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웨어러블카메라, 스마트의류, 스마트안경, 스마트시계, 게임 등의 소비자부문에서도 221억 달러(23조원)를 달성할 것으로 예측됐으며, 특히 헬스케어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대신 모바일헬스에서와 마찬가지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정보화진흥원은 “신체에 부착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경량화, 소형화가 매우 중요하다. 전력 고효율 소프트웨어, 배터리, 무선충전, 패브릭 반도체, 휘는 디스플레이, 실시간 보안 네트워크기술 등 다양한 부가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개인정보 수집 및 활용에 관한 법, 제도 마련이 필수다. 구글글래스 등을 이용해 불법적으로 촬영하거나 활용하는 행위에 분명한 제한이 필요하며, 이미 미국 의회에서는 구글에 협조를 요청했다. 개인정보 로그를 해킹하거나 몸에 삽입, 부착하는 형태의 제품을 해킹하면 생명 자체를 위협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 단계에서부터 안정성과 보안을 철저히 해야 한다.

진흥원은 “웨어러블디바이스는 전자 제품적인 특성 뿐만 아니라 패션소품, 액세서리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앱 등 기능개발과 함께 디자인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며 “우리나라에서도 미래창조과학부 등 유관부처 논의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제휴사 / 메디칼업저버 임솔 기자 slim@monews.co.kr
송병기 기자
slim@monews.co.kr
송병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