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카셰어링 성장의 비결은?

[기획] 카셰어링 성장의 비결은?

기사승인 2014-05-16 00:58:00
[쿠키 경제] 자동차를 시간·분 단위로 빌려 타는 ‘카 셰어링’ 사업이 쑥쑥 성장하고 있다.

카 셰어링은 렌터카와 달리 최소 10분 단위로 차를 빌릴 수 있는 서비스다. 차가 없는 사람이 한나절이나 반나절 차가 필요할 때 유용하다. 무엇보다 저렴한 이용료가 최대 장점이다. 준중형차인 아반떼MD의 경우 1시간 대여료가 5280원(카 셰어링 업체 ‘그린카’ 요금 기준)이고 ㎞당 요금(유류비 명목)은 190원이다. 차를 빌려 30㎞를 주행한 뒤 1시간 안에 반납하면 1만980원, 2시간 안에 반납하면 1만6260원을 내면 된다. 제자리에 차를 갖다놔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하면 택시요금보다 싸게 차를 쓸 수 있다. 차에 기름이 떨어지면 차 안에 있는 카드로 어느 주유소에서나 채워넣을 수 있다.

업체들이 가격을 낮출 수 있었던 비결은 무인 시스템이다. 카 셰어링은 이용자가 각 업체의 무인거점에 가서 차를 빌렸다가 같은 자리로 돌려놓는 것을 기본 골격으로 한다. 무인거점에는 1~2대씩 차가 있다. 약 1200대를 보유하고 있는 업체인 그린카의 경우 서울 종로구 KT광화문지사, 종각 제일은행, 중구 서울시청 본관 등 전국에 700곳의 거점이 있다. 그린카는 “서울 시내에선 평균 500m 이내에서 차 이용이 가능하다”고 했다.

무인 시스템은 각종 정보통신기술(ICT) 덕분에 가능해졌다. 불특정 다수가 무인거점에 가서 차를 이용하지만 카 셰어링에선 열쇠가 필요 없다. 스마트폰이나 회원카드가 차 키를 대신한다. 그린카의 경우 애플리케이션(앱)을 열쇠로 사용한다. 스마트폰에 설치한 앱에서 ‘열림’ 버튼을 누르면 이동통신망을 통해 차로 정보가 전달돼 차 문이 열린다. 690대 정도를 보유한 업체인 쏘카도 같은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린카 관계자는 15일 “서버 9대로 중앙에서 차를 제어할 수 있는 관제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면서 “GPS를 이용해 차의 위치를 찾는 것은 기본이고 원격 도어 개폐, 원격 시동, 자가 진단 등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대여를 예약할 때도 관제시스템과 GPS의 도움으로 가장 가까운 무인거점에 이용가능한 차가 몇 대 있는지 미리 알 수 있다. 스마트폰이 국내에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전인 5~6년 전이라면 카 셰어링은 시장에 발을 들여놓기 힘들었을 것이다.

카 셰어링은 일종의 ‘공유경제’다. 물건의 소유가 아닌 차용(借用)이 기본 개념이다. 이런 공유경제의 효과를 높이는데도 ICT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운전 중 차가 긁혔으면 해당 부분을 스마트폰으로 찍어 관제시스템에 전송해야 한다. 이전 이용자가 차를 쓴 뒤 제대로 청소를 하지 않았다면 지저분한 모습을 찍어 고발할 수 있다. 쏘카는 페이스북, 트위터, 일부 포털사이트 아이디로도 회원 가입이 가능하도록 연동 서비스를 최근 시작했다.

카 셰어링 이용자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린카 회원수는 지난해 10월 10만명을 돌파했고 현재는 약 16만명이다. 월 이용자수도 지난해 1월 9149명에서 12월 1만8068명으로 1년 만에 배 수준으로 늘었다. 연령대별 이용자는 ICT에 익숙한 20대가 54%로 가장 많고 30대 34%, 40대 9%, 50대 이상 3%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
권기석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