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9일 (월)
아모레퍼시픽재단, ‘한국의 차 문화 천년’ 6권 출간

아모레퍼시픽재단, ‘한국의 차 문화 천년’ 6권 출간

기사승인 2014-07-07 09:54:55

아모레퍼시픽재단과 도서출판 돌베개는 지난달 30일, 근현대의 차 문화가 담긴 옛글을 엄선해 수록한 ‘한국의 차 문화 천년 6권: 근현대의 차 문화’ 편을 출간했다.

‘한국의 차 문화 천년’ 시리즈는 일찍부터 차(茶) 문화의 보급과 차의 대중화를 이끌어 온 아모레퍼시픽이 출연한 아모레퍼시픽재단의 지원으로 이어지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재단은 과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유구한 차 문화에 관한 문헌 자료를 집대성함으로써, 국내의 차 문화를 한층 더 발전시키고자 해당 시리즈를 기획해 진행해왔다.

이번에 발간된 여섯 번째 권은, 조선 말기부터 대한제국기와 일제강점기를 지나 한국전쟁에 이르는 역사적ㆍ문화적 격동기를 그 배경으로 한다.

한문과 국한문, 국문과 일문(日文)이 혼재된 시조와 민요, 학술서와 보고서, 현대시 및 일본인들이 한반도의 차 문화를 연구한 내용 등 다양한 형태의 자료가 포함되었다.

특히 차 농사를 지으면서 부른 민요와 인터뷰 등, 차를 직접 재배하고 만드는 서민들의 목소리가 담긴 기록이 등장하는 점도 주목할만하다.

차 문화 관련 기록으로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것은 한시(漢詩)이다. 하지만 이 시기의 독특한 점은 근대 농학적 관점에서 차 문화를 기록했다는 것이다.

차의 재배와 채취, 제조법에 관해 저술한 한국 최초의 서구식 농업 서적인 안종수의 농정신편과 장지연의 농학신서가 그것이다.

또한, 이능화, 문일평, 최남선, 고유섭 등 주로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한국 근대 문인, 학자들의 한국차에 관한 저술도 포함됐으며, 품종이 우수한 한국차를 연구해 산업화를 시도한 일본인들의 현장 답사 및 인터뷰, 한국 남부 지방에서 구전된 차 민요들을 채록한 내용도 함께 실렸다.

한편 아모레퍼시픽은 1979년 문화사업의 일환으로 녹차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이래, 꾸준히 전통 차 문화 보급에 힘써왔다. 서성환 선대회장으로부터 이어져 온 차 문화 전파를 향한 확고한 기업철학은 프리미엄 차 브랜드 ‘오설록’ 출시로 이어진바있으며, 최근에는 차 문화 전파를 위한 ‘오설록 티스톤(TEA STONE)’을 개관하기도 했다.

전유미 기자 yumi@kukimedia.co.kr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실용으로 험지 넘고, 비전으로 텃밭 다지고…이재명이 택한 화법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영남과 호남 지방 유세 일정을 마친 가운데, 지역별 정서와 정치 지형을 반영한 맞춤형 메시지 전략을 구사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보수색이 짙은 영남에서는 지역주의 극복과 합리적 보수를 내세우며 외연 확장에 나섰고, 민주당의 전통 지지 기반인 호남에서는 재생에너지와 미래 산업 중심의 구체적인 성장 전략을 제시하며 지지층 결집에 집중했다. 20일 본지가 지난 13일부터 18일까지 이 후보의 지방 유세 발언을 분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