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3일 (금)
美 연구진, 줄기세포로 탈모 잡을 수 있다

美 연구진, 줄기세포로 탈모 잡을 수 있다

기사승인 2015-01-31 11:03:55
"샌포드·번햄 의학연구소 Ksenia Gnedeva 박사팀 연구

[쿠키뉴스] 미국 연구진이 줄기세포를 이용해 모발을 생성하는 세포를 생성 시키는데 성공했다.

미국 샌포드·번햄 의학연구소 Ksenia Gnedeva 박사팀은 PLoS One 1월 25일자에 게재된 연구결과를 통해 ""인간의 전분화능줄기세포(human pluripotent stem cell,hPSC)를 이용해 진피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를 생성시키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특히 인간배아줄기세포, 유도만능줄기세포(iPS), 태아줄기세포가 hPSC에 포함된다.

진피모유두세포는 모낭 주위에 둘러싼 피부세포로 모발의 생성과 성장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만약 이 세포가 본연의 기능을 잃게되면 탈모가 발생하게 된다.

연구팀은 진피모유두세포를 면역기능과 털이 전혀 없는 쥐의 피부에 이식했다. 그 결과 hPSC로 신경능세포(neural crest cell)를 만들고, 이를 다시 진피모유두세포로 분화시키는데 성공해 다시 모발이 자라나기 시작했다. 아울러 모발이 다 자란 쥐의 발에 이식했을 때도 털이 다시금 생성됐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탈모치료는 진피모유두세포를 이용한 방법이다. 세부적으로는 두피에서 모발이 빠지지 않은 부위에 진피모유두세포를 채취해 탈모가 시작된 부위에 심는 방식의 치료법이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세포를 체외에서 배양해 증식시켜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진피모유두세포가 고유의 모발생성 기능을 급속하게 싱실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Gnedeva 박사는 ""hPSC 줄기세포로 진피모유두세포를 만든다면,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 이라면서 ""추후 탈모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을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다른 저자 러시아 콜트소프 발생생물학 연구소 Vasiliy V. Terskikh 박사도 ""이번 연구결과는 인간의 다분화기능을 지닌 줄기세포를 이용한 새로운 탈모치료 방법을 모색하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이라면서 ""모발을 이식하는데만 의존해왔던 치료에서 한단계 더 진화한 방법으로, 추후 임상시험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쿠키뉴스 제휴사 / 메디칼업저버 박미라 기자 mrpark@monews.co.kr"
송병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무적함대’ 젠지, 16연승 질주…MSI 1시드 결정전 직행

‘무적함대’ 젠지가 압도적인 경기력을 선보이며 개막 16연승을 질주했다.젠지는 23일 오후 5시 서울 종로구 롤파크 LCK 아레나에서 열린 ‘2025 LCK’ 정규시즌 2라운드 DRX와 경기에서 세트스코어 2-0으로 승리했다. 16연승을 달린 젠지는 MSI(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1시드 결정전 직행을 확정했다. 반면 DRX는 이날 패배로 ‘로드 투 MSI’ 진출에 실패하며 3~5라운드를 라이즈 그룹에서 치르게 됐다.젠지가 1세트 초반부터 DRX를 압박했다. 바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