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살인사건’ 범인 패터슨, 어떻게 오게 됐나…“한미 사법 공조 역사상 가장 극적인 사건”

‘이태원 살인사건’ 범인 패터슨, 어떻게 오게 됐나…“한미 사법 공조 역사상 가장 극적인 사건”

기사승인 2015-09-22 19:24:55
KBS 보도 화면 캡처

"[쿠키뉴스=김현섭 기자] ‘이태원 살인사건’의 진범으로 지목된 미국인 아더 존 패터슨(36·사진)이 도주한 건 무려 16년 전이다. 그가 대체 어떻게 국내로 송환되게 됐을까. 한미 형사사법 당국의 탄탄한 공조가 큰 역할을 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패터슨이 1999년 8월 미국으로 도주하자 법무부는 곧바로 송환 작전에 들어갔다. 애초 살인 혐의로 기소된 재미동포 에드워드 리(36)가 법원에서 무죄를 선고받고 혐의를 벗으면서 패터슨이 유력한 살인 혐의자로 지목된 상황이었다.

법무부는 미국 법무부의 협조를 받아 10년이 지난 2009년 10월에 행방이 묘연했던 패터슨의 미국 내 소재를 확인했고, 곧바로 미국에 범죄인인도청구를 했다. 패터슨은 2년 후인 2011년 5월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체포돼 범죄인인도 재판에 회부됐다.

미국 법원은 2012년 10월 범죄인인도 허가를 결정했으나 패터슨은 이와 별개로 인신보호청원을 제기했다. 범죄인인도 결정이 적절한지 다시 한번 판단해달라는 것이다. 뻔한 의도였다. 어떻게든 한국 송환을 지연시키려는 것이었다.

미국 법원은 패터슨을 외면했다.

패터슨의 청원은 지난해 6월 1심과 올 5월 항소심에서 모두 기각됐고 7월에는 재심 신청마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패터슨으로서는 3개월 내 상고를 제기해 마지막 판단을 받아봐야 하는 처지에 몰렸다.

패터슨은 이 과정에서 ‘치명적 실수’를 범했다. 범죄인인도 결정의 집행 정지 신청을 하지 않은 것이다.

미국 범죄인인도 관련 법에 따르면 인신보호청원을 제기하려면 범죄인인도 집행 정지 신청을 해야 하고 각 심결 이후 2개월 이내에 이를 연장해야 한다.

그런데 패터슨은 어찌된 일인지 1심 이후와 달리 항소심에서 패한 뒤에는 2개월 기한이 만료될 때까지 집행 정지 신청을 하지 않았다.

이를 알게 된 법무부는 즉각 미국 당국을 설득했고 결국 19일 오전(이하 한국시간) 미국의 패터슨 송환 결정을 끌어낼 수 있었다.

패터슨은 16년 전 출국할 때 우리나라 검찰이 출국금지 연장을 하지 않은 틈을 이용했다. 한국 검찰의 실수를 이용해 도망을 간 패터슨이 이번엔 공교롭게도 자신의 실수로 다시 돌아오게 된 것이다.


패터슨은 이런 전개 과정을 까마득히 모르고 있다가 미국 당국이 송환 문서에 사인하고서 이를 통보하자 그제야 상황을 파악했다고 한다.

법무부는 21일 오전 국제형사과 소속 검사 1명과 수사관 4명으로 구성된 인수팀을 미국으로 보내 국무장관의 최종 재가를 받고 패터슨의 신병을 넘겨받았다.

법무부 관계자는 “패터슨 송환은 한미 당국의 사법 공조 역사상 가장 극적인 사건”이라고 평가했다. afero@kmib.co.kr 페이스북 fb.com/hyeonseob.kim.56


[쿠키영상] "내일까지 버틸 수 있을지..." 출산 후 의식이 없던 엄마를 살려낸 아기의 울음소리

[쿠키영상] 수지-이민호 결별설에 양측 소속사 "사실무근"...'기자들 때문에 제대로 만날 수 있겠나?"

[쿠키영상] 치명적인 독으로 큰 물소를 한 방에!"
김현섭 기자
afero@kmib.co.kr
김현섭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