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근로자 평균연봉 3281만원… 대기업 정규직은 6544만원

지난해 근로자 평균연봉 3281만원… 대기업 정규직은 6544만원

기사승인 2016-07-20 11:46:35 업데이트 2016-07-20 11:51:42
우리나라 근로자의 지난해 평균연봉은 3281만원이며, 중간 순위에 해당하는 근로자의 연봉은 2500만원, 상위 10%에 해당하는 근로자의 연봉은 6432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소득분위별 평균연봉은 10분위(상위10%이상)는 9452만원, 9분위(10~20%)는 5428만원, 8분위(20~30%)는 4096만원, 7분위(30~40%)는 3323만원, 6분위(40~50%)는 2754만원, 5분위(50~60%)는 2316만원, 4분위(60~70%)는 1936만원, 3분위(70~80%)는 1620만원, 2분위(80~90%)는 1273만원, 1분위(90~100%)는 601만원이었다. 

2014~2015년 동안 근로자의 평균연봉은 2014년 3234만원에서 2015년 3281만원으로 47만원(1.5%) 올랐고, 중위연봉은 2014년 2465만원에서 2500만원으로 35만원(1.4%) 올랐다. 

근로자 특성별 연봉 수준을 살펴보면, 2015년도 대기업 정규직 평균연봉은 6544만원으로 소득상위 9.5%에 해당했고, 중소기업 정규직 평균연봉은 3363만원으로 소득상위 34.1%에 해당했다. 2014년 대비 대기업 정규직의 평균연봉은 266만원(4.2%), 중소기업 정규직의 평균연봉은 40만원(1.2%) 올랐다. 

한편 2015년도 연봉금액별 근로자수는, 연봉이 ‘1억원이상’은 39만 명(2.7%), ‘1억미만∼8000만원’은 41만 명(2.8%), ‘8000만원미만∼6000만원’은 96만 명(6.5%), ‘6000만원미만∼4000만원’은 203만 명(13.8%), ‘4000만원미만∼2000만원’은 554만 명(37.7%) ‘2000만원미만’은 535만 명(36.5%)으로 분석됐다. 

2014년 대비 근로자수가 늘어난 구간은 ‘4000만원미만~2000만원’ 31만 명(5.8%), ‘6000만원미만~4000만원’ 12만 명(6.1%), ‘2000만원미만’ 11만 명(2.1%), ‘8000만원미만~6000만원’ 7만 명(8.4%), ‘1억원이상’ 4만 명(11.6%) 등의 순이었고, 근로자수가 감소한 구간은 ‘1억원미만~8000만원’ 1만 명(-1.5%)이었다. 

이번 조사결과에 대해 전경련 송원근 경제본부장은 “중국발 경기침체, 내수부진 등 대내외적 악재 속에서도 2015년도 근로자의 연봉은 대체로 전년대비 상승했으며, 특히 대기업 정규직 근로자의 연봉이 큰 폭으로 올라,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임금격차가 더욱 커졌다”고 말했다. 

또한 “소득 상위 10%이상인 대기업 정규직 노조가 임금 인상 등을 이유로 파업을 결정했다는 소식이 최근 잇따르고 있다”며, “원청업체가 파업에 들어가면 함께 생산라인을 멈춰야 하는 다수의 하청기업 근로자에게 피해가 발생하므로, 대기업 정규직 노조는 파업을 자제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분석대상은 고용주, 자영업자, 무급가족종사자 등을 제외한 임금근로자이며, 연봉은 정액, 초과, 특별급여를 합한 금액이다. 이영수 기자 juny@kukinews.com
이영수 기자
juny@kukinews.com
이영수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