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천대 길병원은 치매관리사업 개발에 나선다. 특히 치매국가책임제 거점병원으로 ▲통합형 사례관리 모델 개발 ▲지역사회 고위험군 대상 치매 코호트 구축을 준비하며, 이를 통해 치매 분야에 예방, 진단, 치료, 재활 등 전주기에 걸친 플랫폼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임정수 가천대 길병원 예방의학과 교수는 지난 8일 가천홀에서 개최된 ‘치매국가책임제,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를 주제로 개최된 치매극복의 날 기념 심포지엄에서 ‘치매극복을 위한 가천대 길병원의 대책’ 발표에서 치매국가책임제 거점병원으로서 준비상황을 이같이 밝혔다.
치매는 올해 65세 인구가 전체 인구의 13.8%에 달하는 가운데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69만명에서 2030년에는 전체 노인의 10%인 127만명이 치매에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노인 10명 중 3명은 치매 또는 치매 전단계인 경도인지장애로 추정된다.
치매국가책임제 거점병원으로서 길병원은 우선 통합형 사례 관리 모델 개발을 위해 의료, 간호, 사회복지, 재활 통합형 사례 관리를 추진한다. 환자의 예방부터 재활까지 책임지는 사업 모델을 구축하고 치매관리시설 및 치매안심센터와도 연계한다.
또 지역사회 고위험군 대상 치매 코호트 구축을 위해 대상자를 모집, 치매 치료제 및 신기술, 예방 효과 검증을 진행하고, 빅데이터 연구가 가능하도록 시스템 기반도 다질 예정이다.
임정수 교수는 “치매 극복을 위해서 인공지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라며 “현재 치매 진단을 위해 부족한 데이터베이스와 바이오 마커를 보강하고, 이를 이용해 결과적으로 치매 예방, 진단, 치료, 재활에 관여하는 치매 전용 인공지능을 구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이번 치매극복의 날(9월 21일)을 기념하고 정부 역점 추진 사업인 치매국가책임제와 관련한 민-관-정의 준비사항과 각계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보건복지부 노인정책과 김민주 사무관은 이날 ‘치매국가책임제 개요 및 추진방향’과 관련해 ▲지역사회 치매안심센터 확대 설치 ▲치매안심요양병원 설립 ▲치매 의료비 90% 건강보험 적용 ▲치매환자 등의 사회복귀를 위한 그룹홈, 단기, 주야간 시설 등 확충 ▲치매환자 돌봄을 위한 사회복지사, 간호사 등 인력확충 ▲장기요양 치매수급자 본인부담 상한제 도입 등을 실현하겠다고 설명했다.
특히 치매안심센터는 초기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상담을 진행하고 치매조기검진, 1:1사례관리, 치매단기쉼터 및 치매카페 운영, 관련 서비스 안내 및 제공기관 연계 등의 업무를 진행하게 된다.
치매안심센터는 초기상담과 조기검진을 수행하며 필요 시 1:1사례관리부터 복지관, 요양시설 같은 기관과 연계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치매안심센터와 함께 운영되는 치매단기쉼터는 상담 이후 지역 기관에 연계되기까지 3~6개월 단기이용할 수 있는 시설로 인지 및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치매카페는 치매가족의 휴식, 교육, 자조모임 등을 운영하게 된다.
김민주 사무관은 “치매환자의 본인부담에 대한 상한제를 강화하고, 취약계층 경감 등을 통해 치매치료에 따른 한도 이상의 고액비용이 부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치매국가책임제의 핵심”이라며 “이를 위해 진단검사의 건가오험 적용 확대, 의료비 부담 경감, 요양 및 가족지원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치매 노인 실종 예방을 위해 치매노인 배회인식표 발금, 장기요양 GPS단말기 보급과 같은 사업도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경희 연구원은 “치매는 의료적 접근뿐 아니라 노후의 삶을 풍요롭게 유지할 수 있도록 생활에 기반한 보호가 이뤄져야 한다”며 “본인의 집에 거주하면서 지역사회에서 계속 생활할 수 있도록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인천계양구보건소 한영란 보건소장은 “치매안심센터가 지역 기타 기관과 원활한 협조가 이뤄지기 위해서는 보건소와 같은 기관에서도 상당한 인력의 충원이 필요하다”며 “기존의 의료기관이 제대로 된 역할을 하고 이를 유연히 연계하기 위해서는 제도보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전미옥 기자 romeok@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