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성노예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집회가 1300번째를 맞았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는 13일 낮 12시 서울 종로구 중학동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제1300차 정기 수요시위를 개최했다. 지난 1992년 1월8일에 시작한 수요집회는 이날 1300회를 맞았다.
윤미향 정대협 공동대표는 “제1차 수요집회 당시에는 사회적으로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에 대해 안 좋은 시선을 갖고 있었다”며 “그 억울하고 서러운 시절이 지나 1300차를 맞게 됐다. 정의가 이뤄지는 그날까지 끝까지 포기하지 않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지난 26년동안 일본 정부에 ‘위안부 피해자 명단 공개하라’ ‘일본 정부의 공식 입장을 밝혀라’ 등 수많은 서한과 성명서를 전달했다”며 “하지만 일본 정부로부터 그 어떤 문서도 받지 못했다. 침묵으로 일관하는 일본 정부는 공식 입장을 내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오전 11시30분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91)·길원옥(89) 할머니는 일본대사관에 일본군 성노예 문제해결을 위해 세계 155개국에서 참여한 약 200만명의 서명을 전달했다.
위안부 피해자인 김복동 할머니는 “우리는 우리의 길을 가겠다. 앞으로 제1301차, 제1302차 수요집회를 통해 우리의 손으로 진정한 해방을 이뤄낼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수요집회에는 김한정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10여개의 학교, 단체가 참석했다. 집회 참가자들의 손에는 ‘굴욕적인 한일합의 당장 폐기하라’ ‘일본정부는 공식사과하라’ ‘반복되는 피의 역사를 막자’ 등의 구호가 담긴 피켓이 들려져 있었다.
전남 무안 백제고등학교 정일화(17) 학생은 "학생들이 직접 수학여행 계획을 짜 참여하게 됐다“며 ”오랜 시간동안 일본이 외면하고 있다는 게 너무하다는 생각이 든다. 하루빨리 일본 정부가 위안부 할머니들에게 사과를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집회에 참석한 이준서(17) 학생도 “학교 수업에서 위안부 문제의 심각성에 대해 배웠다. 더 이상 일본 정부가 아픈 역사를 외면하지 말고 국제사회에 잘못을 인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럽에서 위안부 문제를 알리는 활동을 하는 박지연 유럽평화기행 부단장은 “촛불혁명으로 문재인 정권이 들어섰지만 여전히 ‘2015 한일합의’의 폐기는 이뤄지지 않았다”면서 “왜곡적인 한일합의 폐기를 위해 위안부 문제에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참가자들은 집회를 마친 후, 청와대로 행진해 2015년 한일합의 폐기와 화해치유재단 해산 등 내용을 담은 공개요구서를 전달했다.
현재 정부에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는 239명이다. 위안부 피해자는 35명이 생존해있다.
조미르 기자 meal@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