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둥이 출산 후 65%는 “아이 더 이상 낳지 않을 것”

이른둥이 출산 후 65%는 “아이 더 이상 낳지 않을 것”

이른둥이 출산 후 65%는 “아이 더 이상 낳지 않을 것”

기사승인 2017-09-20 21:42:54

 이른둥이 부모 65%가 ‘더 이상 아이를 낳지 않겠다’고 응답했다.
 
대한신생아학회는 지난 6월부터 두 달간 이른둥이 부모 539명, 일반아 부모 42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신생아 양육 실태 및 부모 인식조사’에서 이 같은 결과를 확인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른둥이 가정, 소득적고 의료·양육비 지출 부담은 높다 

조사에 따르면, 이른둥이 가정 두 집 중 한 집 이상은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보다 적게 버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소득이 399만원 이하인 이른둥이 가정은 전체의 53%였다. 이는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약 442만원 보다 낮은 수치다.

맞벌이 부부 비율도 이른둥이 가정 (32.3%)이 일반 가정(46.5%) 보다 13.2 포인트 더 낮았다. 이와 관련 엄마가 전업주부인 비율은 이른둥이 가정에서 약 15 포인트 높게, 전문직인 비율은 약 10 포인트 낮게 나타났다. 아빠 직업의 경우에는 주목할만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이른둥이 가정의 83.2%는 양육비 지출에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이는 일반 가정(70.4%)에 비해 13.2포인트 높은 수치다. 실제 자녀에게 지출하는 연평균 비용도 이른둥이 가정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이른둥이 가정의 경우 자녀 연평균 지출비용 ‘200~500만원’이란 응답이 20.8%로 가장 높았던 반면 일반 부모는 ‘50~100만원’이라는 응답이 19.7%로 가장 높았다.

자녀에게 지출하는 비용 가운데 가장 큰 항목으로 이른둥이 부모는 의료비(38.8%)를 꼽았으며 그 다음으로 식비(32.2%), 보육/교육비(15.8%) 순이었다. 일반 부모는 식비(34.8%)와 보육/교육비(34.8%)를 가장 크게 꼽았으며, 의료비는 11.7%로, 이른둥이 가정과 차이가 컸다. 실제 이른둥이 부모의 자녀 연평균 지출 의료비는 500만원 이상이 약 30%, 50~100만원(26.1%), 0~50만원(24.9%)인 반면, 일반 부모는 500만원 이상이 10.7%, 0~50만원(39.9%), 50~100만원(32.5%) 등으로 이른둥이 부모의 의료비 지출이 더 높게 나타났다.

자녀 출산 후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는 원인으로는 ‘양육을 위한 경제활동 중단·축소’가 공통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이른둥이 부모의 경우 ‘과다한 의료비’가 45.1%, 일반아 부모의 경우 ‘과다한 보육비’가 46.5%로 높았다.

자녀 양육에 대한 ‘시간적’ 부담도 이른둥이 부모에게 더 높게 나타났다. 자녀를 돌보는 시간은 일평균 주중 ‘이른둥이 부모(1076.67분, 약 18시간)’ > ‘일반 부모(925.93분, 15시간 남짓)’이고, 주말 ‘이른둥이 부모(1214.42분, 20시간 남짓)’ > ‘일반 부모(1081.94분, 18시간)’으로 이른둥이 부모가 2~3시간 이상을 더 할애했다.

◇외래진료비 경감 정책 긍정적… 재활치료 부담 커

다행히 이른둥이 부모의 지나친 의료비 부담을 일부 덜어주고자, 정부는 올해부터 조산아 및 저체중아(재태기간 37주 미만 또는 2500g 이하)를 대상으로 한 외래진료비 경감혜택을 지원하고 있다. 해당 정책에 대한 이른둥이 부모의 인지율은 81.5% 수준이었으며, 정책이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81.8%로 매우 높았다.

반면 이른둥이와 같은 고위험군 아기에게 필요한 RS 바이러스 예방 접종에 대해 ‘다태아나 외동 이른둥이에게도 지원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55.8%로 높게 나타났다(만족한다 17.4%, 모르겠다 26.4%). 다태아의 경우 상대적으로 이른둥이 비율이 높은데, 손위형제자매가 있는 36주 미만의 이른둥이만 현재 예방 접종 보험 급여를 받을 수 있다. 실제 이번 설문에서도 만삭아 중 다태아 비율은 8%인 반면, 이른둥이 4명 중 1명은 다태아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이른둥이 자녀의 발달 지연을 예방하기 위한 재활치료를 받은 이들(26.3%) 수준이었는데 재활치료 시 가장 어려운 점은 ‘치료기관 방문에 따른 시간적 부담(50.0%)’ > ‘비싼 치료 비용(33.3%)’ > ‘전문 시설 및 인력의 부족(29.0%)’ 순이었다. 재활치료를 받지 못하는 이유로 ‘비싼 치료 비용’을 꼽은 응답자도 20%에 달해 재활비용에 대한 부담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른둥이 출산 후 65%는 “아이 더 이상 낳지 않을 것”

이른둥이와 일반아 가정의 출산 후 자녀계획 변화에도 차이가 있었다. 출산 후 자녀 계획이 변화한 비율은 이른둥이 가정은 65.0%, 일반아 가정은 50.4%로 약 15% 포인트 차이를 보였다.

이른둥이 부모들이 자녀 계획을 변경한 이유에는 ‘향후 태어날 아기가 또 이른둥이일까봐 걱정된다(35.2%)’, ‘이른둥이 치료와 양육비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커서(33.9%)’ 순으로 나타났다.

양육비 부담도 크게 나타났다. 이른둥이 가정 48.9%는 ‘양육비용이 너무 듦’을 양육의 애로사항으로 꼽았다. 일반 가정은 ‘일할 때 믿고 맡길 수 있는 보육시설 및 양육자가 없음’이 65.3%로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지목했다.

또한, 새 정부에 기대하는 육아 지원 정책으로 이른둥이 가정은 ‘아동에 대한 양육비 지원(38.7%)’, ‘믿을 수 있는 보육서비스 제공(35.3%)’ 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일반 가정은 ‘믿을 수 있는 보육서비스 제공(46.8%)’, ‘부모가 자녀를 돌볼 수 있도록 근로시간 조정 및 단축 기회의 보장(33.2%)’ 순으로 응답했다. 이른둥이에 대한 정부의 역할과 지원에 대해서는 이른둥이 가정과 일반 가정 모두 ‘정부가 상당 부분 적극 지원해야 한다’에 60% 이상의 비율로 동의했다.

대한신생아학회 김병일 회장은 “최근 통계청 발표에서 올 출생아 수가 사상 최소로 급감해 지난해 수치인 40만이란 심리적 저지선 밑인 36만명으로 예측됐다. 2015년 기준 신생아 100명 중 7명으로 점차 늘어나고 있는 이른둥이를 우리 사회 주요 구성원으로 함께 키운다는 책임감과 국가적 차원의 세심한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김 회장은 “이번 서베이 결과 이른둥이는 생후 2~3년 적극적 보살핌으로 건강하게 자랄 수 있지만, 여전히 이른둥이 가정은 의료비 지출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른둥이 엄마의 전업주부와 자녀 돌보는 비율이 높아 이른둥이 출산이 여성의 경력 단절과 가정 소득 감소에도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전미옥 기자 romeok@kukinews.com

전미옥 기자
romeok@kukinews.com
전미옥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