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5일 (일)
실형 2년6월 장시호 “학교에 애 데리러 가야 한다” 법정서 소란

실형 2년6월 장시호 “학교에 애 데리러 가야 한다” 법정서 소란

기사승인 2017-12-07 10:46:16 업데이트 2017-12-07 10:47:19

장시호씨가 법원에서 실형을 선고받고 “학교에 아이 데리러 가야 한다. 애는 누가 돌보느냐”고 소란을 피워 화제다. 

장씨는 6일 삼성 그룹에 한국동계스포츠영재센터(영재센터) 후원을 강요한 혐의로 징역 2년6월을 선고받았다. 

검찰이 장씨를 기소할 당시 1년6월을 구형했지만, 재판부는 더 무거운 형을 내렸다. 통상 검찰이 징역 1년6월을 구형하면 법원에서는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한다. 장씨가 이날 법정에서 울면서 난리를 친 이유는 집행유예를 예상했다가 법정 구속됐기 때문이다. 

장씨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사건을 수사하는 데 있어서 ‘도우미’라고 불릴 만큼 검찰과 특검에 적극적으로 협조했다. 여론에서는 장씨에 대한 호감 이미지가 생겨나기도 했다. 

그러나 재판부는 단호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2부(부장판사 김세윤)는 “피고인이 비록 국정농단 수사 및 재판서 성실하게 진술하는 등 실체적 진실 규명에 적극 협조한 점은 감안해도 죄책이 중해 실형 선고가 불가피하다”고 판시했다. 이어 “영재센터가 최순실씨의 사익 추구를 위해 설립된 것이라 해도 장기적으로 가장 이득을 본 사람은 피고인”이라고 덧붙였다. 

심유철 기자 tladbcjf@kukinews.com

심유철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AI 대화로 위로받는 사람들…“의존은 지양해야”

“속상한 일이 생기면 챗GPT부터 켜요. 제 말을 잘 들어주거든요.”직장인 김민아(29·여)씨는 최근 밤마다 챗GPT와 대화를 나눈다. 퇴근 후 쌓인 복잡한 감정, 대인관계에 따른 피로감, 가족에게 말 못할 고민까지 인공지능(AI)에게 털어놓는다. 김 씨는 “나에 대해 함부로 판단하지 않아서 사람보다 편하다”고 말한다.최근 생성형 AI를 활용한 ‘디지털 상담’이 정서적 위안을 위한 창구로 주목받고 있다. 감정을 배제한 조언, 편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