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대구미래대 ‘자진 폐교’ 인가
“입학절벽, 가혹한 시험대로 다가와”
학령인구 감소 여파가 매섭다. 학생을 채우지 못해 자진 폐교를 결정한 대학이 또 늘었다. 대학가는 신입생 유치를 위해 앞 다퉈 자구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입학절벽을 앞두고 미달사태가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교육부가 대구미래대학교의 폐지를 인가한다고 12일 밝혔다. 대구미래대를 운영하는 애광학원은 지난해 6월 스스로 폐교 신청을 냈다. 학생 충원이 갈수록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매년 하향곡선을 그리던 신입생 충원율이 2017학년도에는 34.8%까지 떨어졌다. 등록금 의존도가 큰 전문대 입장에서 타격이 클 수밖에 없다. 여기에 1주기 대학구조개혁 평가를 통해 받은 최하위 E등급 판정은 재정 지원마저 막아버려 회생도 쉽지 않았다.
대학의 자진 폐쇄 결정은 전문대학으로서는 대구미래대가 처음이다. 앞서 4년제 대학 중에서는 수도침례학교, 건동대학교, 경북외국어대학교 등이 역시 학생 부족으로 문을 닫은 사례가 있다. 학령인구 감소 여파를 실감하고 있는 대학가에 전해진 잇따른 폐교 소식은 존폐 위기로 치달은 현실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켰다.
실제 수시·정시 미달 규모는 매년 커진다. 지난 2015학년도에 9,086명이던 4년제 대학들의 추가모집 인원은 2016학년도 9,262명, 2017학년도 9,794명으로 증가했다. 추가모집 실시 대학의 수도 2013학년도 119곳에서 지난해 161곳으로 5년째 늘었다.
특히 서울·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입학 지원율이나 재정여건이 떨어지는 지방대 중에서는 조만간 입학생이 없어 운영이 불가능한 대학이 속출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지방 A대학의 한 학과장은 “입학생들의 중도탈락률마저 6%를 넘어섰다”며 “이래저래 학생을 붙잡기 위해 사활을 걸어야 하는 상황이다”라고 토로했다.
수도권의 B 전문대학 홍보 담당자는 “대학 내에서 학령인구 감소에 대응해 3년 전부터 적극적인 취업 특성화 전략을 펼치고 있다”면서 “이런 때일수록 전문성을 강화하는 작업이 주요하다는 내부 방침이 세워졌다”고 말했다.
위기의식이 커진 대학들은 연합전선을 구축해 교육 교류를 전개하거나 살점을 도려내는 구조조정 등을 단행하고 있다. 신입생을 모시기 위해 해외연수 등 혜택을 내건 경우도 적지 않다.
C대학 입학처 관계자는 “모든 사업의 목적은 결국 충원율 확보로 이어진다고 볼 수 있다”면서 “충원율을 높일수록 그나마 대학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요소들이 많아지는 만큼 학생 자원 유치 경쟁은 더 치열해질 것이다”라고 말했다.
D대학의 한 교수는 “정부가 구조개혁평가를 개선한다고는 하는데 어차피 대학이 짊어지게 될 책임은 줄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등록금 동결이나 취업난 같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 경쟁력까지 갖춰야 하는 상황에 직면한 것은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처지다”라며 “입학절벽이 그야말로 가혹한 시험대로 다가오는 시점에서 학내 구성원의 요구부터 충족시켜 나가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김성일 기자 ivemic@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