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구멍 난 교직원 대상 잠복결핵 관리체계, 우리 아이 건강 위협

[기자수첩] 구멍 난 교직원 대상 잠복결핵 관리체계, 우리 아이 건강 위협

기사승인 2018-08-18 00:07:00 업데이트 2018-08-21 10:12:46

지난 7월 충남 천안 소재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직원이 결핵 확진판정을 받으며 보건당국이 역학조사에 나선 바 있다. 같은 시기 충북 청주 소재 초등학교에서는 급식조리원이 결핵에 걸린 사실을 모르고 배식을 진행해 논란이 불거지기도 했다.

초등학교 등 집단생활을 하는 학교에서 결핵발생이 끊이지 않고 있다. 결핵은 ‘구시대 질병’, ‘후진국 질병’ 등으로 알려졌지만 한국은 여전히 OECD 국가 내 결핵 발병 1위 국가라는 불명예의 그늘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정부의 민간·공공협력 결핵 관리 사업 추진으로 우리나라의 잠복 결핵 발병률도 매년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지만 교육시설 내 결핵 집단감염 사태는 끊임없이 발생함에 따라 아동들의 건강이 위협받고 있으며, 학부모들의 불안감 또한 가중되고 있다. 

특히 결핵균에 노출돼 감염됐지만 면역력이 약해지면 언제든 활동성 결핵으로 변할 가능성이 있는 잠복결핵의 경우에는 증상이나 전염성이 없다는 이유로 적극적인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아 결핵 발병률을 낮추는데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무엇보다 교육시설에서 연이어 발생하는 결핵 감염 사태로 인해 교직원 대상 결핵 예방 관리체계가 허술하다는 논란이 지속해서 제기되고 있다. 교육 종사자 대상 잠복결핵 검진 관리체계에 허점이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에는 강원도 춘천 소재 고등학교 내 결핵 집단 감염사태가 발생했으며, 이후 충남 천안 초등학교에서는 교직원이 건강 검진 과정에서 결핵 확진 판정을 받아 이에 따른 교내 접촉자 전수조사가 시행되기도 했다. 또한 최근에는 서울 서초구 소재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직원이 결핵 확진 판정을 받아 교내 접촉의심 학생을 포함해 140여명이 잠복결핵 검사를 받은 바 있다. 이처럼

결핵예방법 시행규칙에 따르면 교육 종사자에 대한 잠복 결핵 검진의 경우 기관 소속 기간(파견, 소속변경 포함) 중 1회 실시로 한정돼 있다. 일례로 20년간 교직 생활을 한 교사의 경우, 20년이라는 긴 재직 기간 중 단 한 번의 잠복 결핵 검진을 받게 되며, 검진을 받지 않아도 별다른 처벌사항이 없어 이마저도 지켜지지 않은 경우가 많다. 

전문가들은 결핵의 경우 지난 100년간 사라지지 않는 질병으로, 지속적인 예방관리체계를 통해 결핵 발생률 감소에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잠복결핵의 체계적 관리에 대한 WHO의 지침 역시 위험 집단에서의 결핵 발병 확률, 결핵의 역학, 결핵이 공중 보건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 등 결핵 퇴치를 위한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고 있다. 

잠복결핵 감염 검진을 위해 정확도 높은 인터페론감마 분비 검사(IGRA) 시행이 권고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아 각 기관 및 관련 단체에서는 교직원 잠복 결핵 검사를 위한 예산 문제에 손을 놓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지속해서 문제가 발생함에도 잠복 결핵 검진 관리체계를 방치하는 일은 애초 정부가 막대한 예산을 투입한 ‘결핵 안심 국가사업’의 의미를 퇴색시킬 수 있다. 우리 아이의 안전한 교육 환경, 그리고 향후 선진국 수준의 결핵 발생률 감소를 위해 기존 관리체계 문제점을 면밀하게 파악하고, 지원 확대를 통한 국가적 차원의 잠복 결핵 검진체계 강화가 반드시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학교와 같은 집단시설에서 주로 시간을 보내는 학생들은 면역력이 성인보다 약해 집단시설에서 결핵 환자가 발생할 경우에는 집단으로 결핵균에 노출돼 빠르게 전파될 수 있어 예방을 위한 대책이 중요하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잠복 결핵 검진을 통한 철저한 관리 및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16년 결핵 환자 신고현황’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결핵 신환자율(인구 10만 명당 신규환자 수)은 60.4명으로 전년 대비 4.3% 감소했지만 여전히 세계 평균 수치를 웃돌고 있다. 이러한 오명을 벗기 위해서는 집단 결핵감염을 막기 위한 대책이 시급해 보인다.

조민규 기자 kioo@kukinews.com

조민규 기자
kioo@kukinews.com
조민규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