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에서 영양상태가 우려되는 임산부·영유아를 지원하는 ‘영양플러스 사업’의 수혜대상자 중 12%가 지원대기 상태인 것으로 나타나 조속히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신동근 의원(더불어민주당·인천서구을)이 한국건강증진개발원에서 제출받은 ‘영양플러스 사업 연도별 수혜자·대기자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17년 영양위험 우려로 정부에 지원을 요청한 수혜대상자가 8만3988명에 달했다.
뿐만 아니라 작년 한 해에 연평균 1만183명이 즉시 영양지원을 받지 못하고 대기해야 했던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대전의 경우 2017년 기준 전체 대상자의 31.3%에 달하는 496명의 수혜대상자가 대기 중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는데, 올해 상반기에는 대기자수 비중이 38.7%까지 늘어 영양공급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혜대상자가 가장 많은 서울에서도 2017년 연중 3,865명(26.1%)의 임산부·영유아가 영양 지원 대기 상태였던 것으로 나타나, 영양플러스 사업을 더욱 확충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신 의원은 “영양플러스 사업의 취지를 고려하면 영양위험상태에 빠진 임산부·영유아에게 최대한 빨리 영양식품을 지원해야 하는데, 현재 정부에서는 연중 대기자수 규모 정도만 파악하고 있을 뿐, 수혜대상자의 대기기간이 얼마나 소요되는지는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영양플러스 사업은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80% 이하인 가구의 임산부·영유아 중 ▲빈혈 ▲저체중 ▲성장부진 ▲영양섭취상태 부실 등 영양 위험요인 보유자를 대상으로 하는 만큼, 영양식품을 적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신 의원은 “일각에서는 사업신청 후 대기에만 6개월 이상 소요된다는 불만의 목소리도 제기된다”며 “임산부의 경우 자격기간이 출산 후 12개월까지 유지되는 등 자격유지기한이 적용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임신·출산기간 내내 기다리다 몇 개월 겨우 지원받게 돼 영양이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아울러 신 의원은 “작년 우리나라 가임여성 1명당 합계출산율이 1.052명까지 떨어지는 등 저출산 기조가 점점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임산부가 건강하게 출산하고 아이들이 튼튼하게 자라날 수 있도록, 영양플러스 사업의 대기자수와 대기기간을 최소화할 방안을 즉시 강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미옥 기자 romeok@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