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신규 약학대학 증원을 결정하면서 어느 지역에 새로운 약대가 들어설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재 약대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절반 이상은 수도권 소재 대학에 다니고 있다. 교육부는 지역별 형평성을 고려해 새로 증원되는 약대는 지방에 설립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부산(동아대·부경대·고신대) ▲전북(군산대·전북대) ▲강원(상지대·한림대) ▲경북(대구한의대) ▲제주(제주대) ▲대전(을지대) ▲충북(유원대) ▲광주(광주대) 등 8개 지역에서 12개 대학이 신설 약대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다음 달께 신설 약대가 발표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어느 지역에 설치될지에 대해 교육부는 입을 다물고 있다. ‘2020학년도 약학대학 정원 배정’에도 지역에 관련 내용은 찾아볼 수 없다.
앞서 열거한 대학들이 약대 유치에 열을 올리는 이유는 우수 학생의 지역 유인 효과 때문이다. 유치 경쟁이 심화되는 탓에 국립대 중 약대가 없는 제주대와 전북대 등에 약대가 신설된다는 언론 보도가 나오자 한차례 소동이 일기도 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 고등정책과 관계자는 “세부계획을 세우기도 전에 나온 소문에 불과하다”고 일축했다.
다만, 교육부는 신규 약대 평가 항목으로 ▲대학 교육여건 평가(20%) ▲연구중심 약학대학 발전계획(5%) ▲약학 관련 분야 교육기반 및 연구여건 구축 정도(10%) ▲연구중심 약학대학 운영계획(33%) ▲연구중심 약학대학 지원계획(32%) 등만을 밝힌 상태다.
현재 전국 35개 약대에서는 총 1693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 수도권에 위치한 16개교에는 848명이 재학 중이며 전체의 절반을 차지한다. 그 다음으로 경상권 8개 대학에 360명, 전라권 6개교 275명, 충청권 4개 대학 160명, 강원권 1개 대학 50명 등의 분포를 보인다.
지난 2010년 교육과학기술부는 15개 약대 신설과 관련해 경기 5개교를, 대구·인천·충남·전남· 경남은 각각 2개 대학을 선정했다. 특히 전남 지역은 지역 안배를 고려해 2개 대학 선정됐었다. 지역 안배가 이번에도 주요한 잣대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다.
한편 약대 증원과 관련해 대한약사회를 비롯한 약계에서 강하게 반대함에 따라 한동안 약대 증원과 관련한 갈등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약사 인력 증원 및 신규 대학 증설의 근거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부정적 입장을 거듭 피력하고 있는 약사회는 “보건복지부가 내건 ‘제약분야 R&D 인력양성’보다 “현재 약사들의 처우 및 근무환경 개선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2011년 약대 정원을 400명 넘게 늘렸지만 제약업계 취업비율은 2007년 10.6%에서 2015년 8.9%로 오히려 감소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에 대해 교육부 고등교육정책과 관계자는 “실제 조사는 다를 것”이라고 일축했다. 한국약학대학교육협의회(이하 약교협) 관계자도 “약대 증설 심의 과정이 1개월에 불과한 것을 이해할 수 없다”며 “논의 과정·절차에 문제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 관련 약사회는 지난해 12월 복지부와 교육부에 대해 약대 신설 결정의 구체적인 설명이 없었음을 문제 삼아 공익감사를 청구한 상태다. 약교협도 약대 신설 심사 기구인 ‘정원배정심사위원회’에의 참여를 보이콧하는 등 갈등은 계속되고 있다.
약계의 거센 반발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2월말께 약대 신설 대학을 강행키로 결정하면서 어느 지역에 약대를 신설할지 여부 역시 새로운 갈등의 불씨가 될 가능성을 보여 관심을 모으고 있다.
노상우 기자 nswreal@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