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소폭이나마 반등했던 국내 증시가 일본 수출 규제 압박과 국내외 경제지표 부진에 따라 하향세를 보이고 있다. 문제는 이 같은 무역 갈등 지속 여부에 대해 여전히 불확실하고 장기화될 경우에는 한일 모두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특히 수출 의존도가 심한 국내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우려한다. 게다가 미중 무역 분쟁이라는 대외적 변수도 여전하다는 점에서 자칫 코스피 지수가 2000선 이하로 내려갈 수 있다는 우울한 전망도 나오고 있다. 다만 한일 무역 갈등의 여파가미국의 중재로 완화될 경우 반등 가능성은 있다고 한다.
2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1.78% 하락한 2029.48에 마감했다. 코스닥도 전 거래일 대비 4% 하락한 618.78에 장을 마쳤다. 이는 27개월만에 최저치다.
국내 증시는 올해 초부터 조금씩 반등하기 시작해 지난 2월 말(2월 27일) 코스피 지수는 2234.79까지 상승했으나 대외적인 악재가 겹치면서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국내 주식시장의 하향세는 최근 일본 정부의 수출 규제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일본 정부가 지난 1일 한국에 반도체 관련 소재의 수출 규제를 강화하겠다는 공식 입장을 발표한 이후 국내 증시는 꾸준히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일본 정부의 수출 규제 발표 시점 코스피 지수(2129.74) 대비 4.70% 하락했다.
게다가 향후 일본 정부가 한국을 화이트리스트 우대국에서 제외할 경우 국내 수출산업이 더욱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평가다. 일본 정부는 다음달 2일부터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한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화이트리스트 대상 국가들에게는 일본이 수출을 할 때 포괄적으로 허가하는 우대 조치를 해준다. 여기서 한국을 배제한다는 것은 우대 조치의 해제를 넘어 개별적 허가 절차에 많은 규제를 가할 가능성을 내포한다는 점이다.
하나금융투자 이미선 연구원은 “한국이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될 경우 일본 경제산업성이 지정한 첨단소재, 전자, 통신 등 1100여개 품목에 대한 공급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문제는 증시 반등의 요인이 불투명하다는 점이다. 한일 무역 갈등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아서다. 한국투자증권 박소연 연구원은 “(무역 갈등에서) 가장 큰 분수령 중 하나로 꼽혔던 참의원 선거도 끝났음에도 일본은 공세를 이어갔다”며 “아베 총리는 앞으로 남은 임기 동안 내부 결속 및 레임덕 방지를 위해 한국에 대한 공세를 지속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전망했다.
KTB투자증권 박석현 연구원은 “이번 한일무역 분쟁은 경제적인 측면 보다 다분히 정치적인 요인이 크다”며 “일본이 일방적으로 내린 조치이기에 향후 예측도 불투명하다”고 분석했다. 박 연구원은 “현재 일부 반도체업종 주가가 오르고 있지만 이는 사태가 장기화되지 않을 것이라는 가정에서 발생한 모멘텀”이라며 “만약 예상 보다 분쟁이 격화될 경우에는 불확실성이 확대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교보증권 임동민 연구위원은 “(일본의 수출제한 품목 가운데) 한국에서 대체가 가능한 산업은 상대적인 수혜를 볼 수 있겠지만 문제는 실현 여부”라며 “이번 무역 갈등으로 대체산업이 빠르게 성장할 순 있지만 대책품목의 공백에 따른 피해는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한일 경제 갈등 외에도 미중 무역 분쟁이 해소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코스피 지수가 2000선 이하로 하락할 수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대신증권 이경민 연구원은 “최근 글로벌 무역분쟁 등 대외 리스크 요인이 부상함에 따라 우리 경기의 하방 리스크 및 원화 약세에 대한 압력도 확대되고 있다”며 “향후 극적인 실적 개선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코스피가 2000선을 이탈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망했다.
다만 미국의 중재 여부에 따라 한일 무역 갈등도 완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한국투자증권 박소연 연구원은 “한일 무역 갈등이 사태가 장기화되면 글로벌 공급망에 악영향을 끼쳐 비난의 화살이 일본으로 꽂힐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규제 품목을 살펴봐도 메모리 반도체 생산에 가장 중요한 ‘불화아르곤’ 및 ‘불화크립톤’ 포토레지스트는 포함되지 않은 것을 보면 규제의 여파가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로 퍼지는 것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KTB투자증권 박석현 연구원도 “만약 예상 보다 분쟁이 격화되고 장기화될 경우에는 피해가 더 커지고 불확실성도 확대되면 글로벌적인 부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유수환 기자 shwan9@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