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혁명을 말하다] “인프라無 인력 유출…지방, 뭘 할 수 있는가”

[4차산업혁명을 말하다] “인프라無 인력 유출…지방, 뭘 할 수 있는가”

기사승인 2019-09-16 16:23:59

“서울과 경기·인천에 IT와 소프트웨어 기업의 약 90%가 몰려있다. 대학생이 서울에서 졸업하면 93%가 서울에 남고, 지방은 53%만 지역에 남는다, 이런 상황에서 중앙서 먼 지역들은 4차 산업혁명에서 과연 무엇을 할 수 있겠나.”

김용진 서강대 경영학부 교수는 16일 오후 국회도서관 소회의실 B103호에서 열린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말하다-일자리 창출기반 지역발전방안 모색’ 토론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날 주제발표자로 나선 김 교수는 산업 기반이 약한 지방 지역은 인프라 부족·인력 유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지역 맞춤형 4차 산업혁명 전략이 시급하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은 이미 우리의 산업 자체를 뒤흔들고 있다. 향후 기업들의 생존 여부가 여기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것. 일례로 지난해 시가 총액이 높은 글로벌 기업들에는 정유회사나 자동차 회사가 아닌, 디지털화에 성공한 미국의 애플, 아마존, 구글과 중국의 텐센트, 알리바바 등이 차지했다. 

김 교수는 현 산업 흐름에 대해 “내가 원하는 상품을, 내가 원하는 장소에서, 원하는 형태로 제공받는 ‘제품의 서비스화’가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라며 “과거에는 불가능했지만, 디지털 기술이 이를 가능케 했다”라고 진단했다. 이젠 단순히 신발이라는 상품을 구매하는 것을 넘어서, 내가 디자인한 신발을 내일 집에서 배송받는 서비스도 가능한 시대다.  

김 교수는 4차 산업혁명으로 산업 간 경계가 사라지고 있다고도 강조했다. 그는 “자동차의 패러다임이 자율 주행 등으로 바뀌고 있다”면서 “자동차 산업이 AI 등 IT와 결합해 가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미래에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수직 계열 구조가 기술과 창의력을 보유한 기업들의 수평적 협력·연합 등으로 변화해 나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처럼 산업 흐름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데, 지방의 위상은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는 것이 김 교수의 우려다. 일자리 등 산업 기반은 앞으로 중앙에 더욱 쏠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에 따르면, 기술개발투자와 인력 모두 수도권·충청권에 몰려 지역편중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이곳에 약 80% 이상이 집중된 상태다. 인력 유출도 심각한 문제다. 수도권 대졸자의 지역 잔존율은 92.7%에 달하지만 강원도 등 지방은 50%에 불과하다. 아울러 김 교수는 현재 정부가 추진 중인 4차 산업혁명 지역 혁신 방안들도 부족한 점이 많다고 지적한다.  

김 교수는 “지역 상황에 맞도록 특성화된 것이 전무하고, 겹치는 것들이 50% 이상”이라며 “해외특허 및 기술료가 매우 미흡하고, 정부의 지원을 받은 기업과 그렇지 못한 기업의 성장성 또한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라고 꼬집었다. 이어 “개별 기업을 지원하는 것보다도, 지역정부·대학·기업 등 지역 협업 네트워크를 구축해 이들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인력수급 체계 효율화 ▲건전한 성장환경 조성 ▲상생 생태계 조성 ▲협력적R&D 체계구축 ▲글로벌 역량 향상 등을 꼽았다. 산학협력 등 지역 네트워크 통해 인력 유출을 막고, 인프라 중심 지원과 지역 내 협업 브랜드 구축으로 지역 맞춤형 4차 산업혁명 전략을 짜자는 것. 최종적으로 지방 정부의 역량을 높이는 것이 목적이다.  

김 교수는 미국 팔로알토 지역의 구글, 포틀랜드의 나이키, 시애틀과 스타벅스, 프랑스의 와인 산업 등을 예로 들기도 했다. 그는 “지역 네트워크가 지역자원을 통합·활용하는 지역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면서 “아울러 중앙 정부가 아닌, 지역 주도형으로 정책 거버넌스를 확립하고, 지역 고유의 문화·정체성에 기반한 지역 산업전략을 실행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한편 주제발표 이후 이어진 토론회에서는 한국지역정보개발원 정재한 책임, 4차산업혁명위원회 이경환 전남대 교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조선학 과장이 패널로 참석해 지역 일자리를 놓고 여러 방안들을 논의했다. 한국경제지리학회장 정성훈 강원대 교수가 좌장을 맡았다. 이번 토론회는 국회 융합혁신경제포럼(대표 김성태 의원)과 쿠키뉴스가 공동 주최해 마련됐다. 

한전진 기자 ist1076@kukinews.com 사진=박태현 기자

한전진 기자
ist1076@kukinews.com
한전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