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으로 이어지는 '잠복결핵감염', 의료인·노인 등 고위험군 관리 강화해야

결핵으로 이어지는 '잠복결핵감염', 의료인·노인 등 고위험군 관리 강화해야

기사승인 2019-09-24 14:24:17

우리나라의 결핵 발생률을 퇴치 수준까지 낮추기 위해서는 ‘잠복결핵감염’ 관리를 강화하고, 그중에서도 고령층, 의료기관 종사자 등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전략을 세워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4일 오전 10시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결핵퇴치를 위한 잠복결핵의 선제적 대응방안 정책토론회’에서는 이같은 전문가들의 의견이 나왔다. 토론회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윤종필 의원이 주최하고 쿠키뉴스가 주관했다.

이날 첫 번째 주제발표를 진행한 서해숙 서울특별시 서북병원 진료부장은 결핵의 전단계인 ‘잠복결핵감염’ 치료를 위해 검사 우선 적용 대상자를 정하고 계층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잠복결핵감염은 결핵균에 감염돼 몸 안에 소수의 살아있는 결핵균이 존재하는 것을 말한다. 기침 또는 재채기를 해도 외부로 결핵균이 배출되지 않아 타인에게 전파되지 않으며 결핵과 관련된 증상이 없다. 또 객담검사와 흉부 사진에서도 정상 소견을 보인다. 하지만 언제든 결핵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치료는 결핵 발병 예방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 결핵 신환자 신고율이 연 7~9%씩 감소하고 있고 잠복결핵감염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정부의 ‘제2기 결핵관리종합 추진계획(2018~2022)’에도 잠복결핵감염 검진의 내실화 방안이 담겼다.

그러나 양성자 중 실질적으로 치료를 받는 환자는 매우 적다는 것이 서 부장의 설명이다. 서 부장은 “잠복결핵 감염자 중 10%는 결핵으로 진행된다. 결핵으로 진행되면 다른 사람에게도 감염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면서 “그러나 한 보도에 따르면 서울시의 경우 잠복결핵감염 양성인 사람 2만 3877명 중 치료 희망자는 7.1%인 1715명에 불과했다. 부산도 7542명의 양성 판정자 중 치료 희망자는 1252명이었다”라고 말했다.

그는 “잠복결핵감염 양성이 곧 질병은 아니기 때문에 진단과 치료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타당성 부재, 항결핵제의 부작용 문제, 명료하지 않은 검진범위 등이 치료의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이라며 “치료가 확실한 이득이 된다는 홍보를 강화하고, 우선적으로 관리해야 할 집단, 대상을 정립하는 가이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 부장은 특히 의료기관 종사자들에 대한 관리 강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환자들이 모이는 공간이기 때문에 환자-환자, 환자-직원 간 감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실제로 1998년~2004년 산재보험 보상을 받은 국내 보건의료종사자의 직업성 감염 질환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 것은 결핵(73.1%)이었다. 결핵 신규 환자 중 의료인의 감염 신고도 증가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 자료에 따르면 2011년 127명이었던 의료인 신고자 수는 2014년 294명, 2015년 367명으로 크게 늘었다.

그는 “결핵 발병 고위험군은 권고가 아닌 적극적인 강권으로 가야 한다”며 “또 앓고 있는 질병 및 질병의 중증도, 연령, 여명의 정도, 치료 시급 정도 등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김천태 대한결핵협회 결핵연구원 원장 또한 고령 노인 등 결핵취약계층에 대한 관리를 강화해야 결핵을 퇴치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원장은 “우리나라 결핵 발생 및 사망률은 여전히 OECD 국가 중 1위이지만 결핵 신고 신환자 수는 꾸준히 줄고 있다”며 “하지만 환자 중 65세 이상 노인의 비율은 늘고 있다. 2018년 기준 전체 결핵 환자의 45.5%는 노인층이 차지했다”라고 강조했다.

그에 따르면 노인층은 복합질환이 많기 때문에 타 질환 동반시 병원 이용 중 타인에게 전파할 수 있고, 젊은 세대로도 전파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특히 80세 이상은 요양시설에 입원하는 경우가 많은데, 요양병원에 입원한 상태에서 진단받는 경우 입원 가능한 병원이 제한된다는 것이 김 원장의 주장이다.

독거노인이나 취약계층의 경우 결핵진단에서 빈번하게 누락되고, 결핵 치료시 약제 부작용 발생 위험도 높다는 문제가 있다.

김 원장은 “노인은 결핵 발생 및 사망 가능성이 높아 잠복결핵감염에서 결핵으로 발전되기 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국가결핵관리정책을 결핵 발병 후 관리 사업이 아닌 발병 전 예방 사업으로 방향을 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결핵은 후진국병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 발생률이 높은 이유는 무엇일까. 국가결핵관리 계획의 방향 설정이 적절한지, 인프라가 부족한 것은 아닌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유수인 기자 suin92710@kukinews.com

유수인 기자
suin92710@kukinews.com
유수인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