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식품 수입 규모 약 281억달러…농수산물 수입금액 감소

작년 식품 수입 규모 약 281억달러…농수산물 수입금액 감소

기사승인 2020-02-06 09:35:42

[쿠키뉴스] 유수인 기자 = 지난해 약 1860만톤의 식품이 수입돼 규모가 281억달러(한화 약 32조8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건수는 1.4%, 중량은 0.3%, 금액은 2.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농‧임산물 및 수산물의 수입금액은 전년 대비 감소한 반면, 축산물과 가공식품등은 증가했다.

6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해 식품 등은 총 168개국으로부터 수입됐다. 국가별 수입금액과 중량을 분석해보면 모두 미국이 가장 많았다.  

수입 금액은 미국이 67억 8616만달러로 가장 높았고, 이어 중국(47억 1690만달러), 호주(24억 6044만달러), 베트남(12억 1088만달러), 러시아(8억 7854만달러) 순이었다. 이들 5개국 수입 금액이 전체 수입 금액의 56.9%를 차지했다.  

수입 중량의 경우 미국이 483만톤으로 가장 많았고, 호주(300만톤), 중국(300만톤), 브라질(86만톤), 태국(84만톤) 순이었으며, 이들 5개국 수입량이 전체 수입량의 67.5%를 차지했다.

또 지난해 약 1825개 품목이 수입됐는데, 수입 금액으로는 쇠고기, 돼지고기, 정제가공용원료가, 수입 중량으로는 정제가공용원료, 밀, 옥수수가 가장 많았다.

중량순으로 수입된 품목을 살펴보면, 농‧임산물은 403개 품목으로 밀, 옥수수, 대두, 바나나, 쌀 순으로 많았다.

수산물은 292개 품목으로 냉동명태, 냉동오징어, 냉동새우, 냉동고등어, 냉동게 순으로 많았으며, 축산물은 65개 품목으로 돼지고기, 쇠고기, 닭고기, 자연치즈, 혼합분유 순으로 많았다.  

가공식품은 208개 품목으로 정제가공용원료, 맥주, 배추김치, 과채가공품, 정제소금 순이었고, 건강기능식품은 220개 품목으로 비타민/무기질, 프락토올리고당, EPA 및 DHA 함유유지, 단백질, 개별인정형제품 순이었다.  

식품첨가물은 535개 품목으로 초산전분, L-글루타민산나트륨, 인산, 혼합제제, 구연산 순으로, 기구‧용기‧포장은 102개 품목으로 종이제, 스테인레스제, 도자기제, 무착색유리제, 폴리프로필렌제 순으로 많았다.  

작년 1만톤 이상 수입된 품목 중 전년 대비 증가율이 가장 높은 품목은 ‘냉동청어’로 전년 대비 362.1% 증가했으며, 우유(182.0%), 가공치즈(129.5%), 수산물가공품(102.2%), 두류가공품(83.2%) 순으로 나타났다.  

주요 3개국(미국, 중국, 일본)의 수입물량은 전년 대비 미국은 3.4% 증가(2018년 467만톤), 중국과 일본은 각각 1.6%(2018년 305만톤), 23.6%(2018년 18만톤) 감소했다. 

주요 수입물량이 감소한 품목으로는 중국은 양파(△57.9%), 냉동오징어(△32.2%)가, 일본은 맥주(△41.2%), 청주(△37.6%) 등으로 확인됐다.

한편, 지난해 수입식품 부적합 비율은 0.18%(73만8090건 중 1296건 부적합)로 전년 0.2% 대비 0.02%p 감소했으며, 이는 처음으로 수입되는 식품보다 국내 수입이력이 있는 안전성이 확보된 식품이 더 많이 수입됐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전체 수입국 168개국 중 68개국이, 1825개 품목 중 250개 품목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으며, 국가별로는 중국이 405건(부적합률 0.20%)으로 가장 많았고, 미국(131건, 0.13%), 베트남(117건, 0.38%), 태국(74건, 0.23%), 인도(57건, 0.92%) 순이었다.

품목별로는 과채가공품이 74건으로 가장 많았고, 과자(53건), 천연향신료(47건), 빵류(35건), 기타가공품(33건) 순으로 확인됐다.

부적합 사유로는 기준 및 규격(함량, 산가 등) 위반이 가장 많았으며, 식품첨가물 사용기준(보존료, 색소 등) 위반, 미생물(세균수, 대장균 등) 기준 위반 순으로 나타났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부적합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거나 위해우려가 있는 수입식품 등에 대해서는 영업자 스스로가 안전성을 입증토록 하는 검사명령제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이라면서 “부적합 발생 가능성이 높은 제품 위주로 검사를 더욱 강화해 국민이 안심하고 수입식품을 섭취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전했다. 

suin92710@kukinews.com

유수인 기자
suin92710@kukinews.com
유수인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