췌장암 5년 생존율 12%…조기 발견하면 완치율 50%로 높아져

췌장암 5년 생존율 12%…조기 발견하면 완치율 50%로 높아져

기사승인 2020-02-07 05:00:00

[쿠키뉴스] 유수인 기자 = 지난해 12월 24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17년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췌장암의 5년 상대생존율은 12.2%로 가장 낮았다. 췌장암은 뚜렷한 증상이 없어 조기에 발견하기 어렵고 이미 상당히 진행이 되거나 간 등의 장기로 전이된 상태인 경우가 많다. 진단 후 평균 생존 기간은 4개월에서 8개월 정도인데, 1기에 발견하면 완치율은 50%까지 높아진다.

췌장암은 일반적으로 췌장에서 발생하는 암을 말한다. 췌장은 우리 몸의 소화에 관련된 효소를 분비해서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과 같은 영양분의 흡수를 돕고 음식물을 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인슐린이나 글루카곤 같은 여러 가지 호르몬을 분비하여 혈당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췌장에 이상이 생겼을 때는 소화기능 장애뿐 아니라 당뇨병이 생길 수 있다.

췌장은 복부 깊숙이 위장 뒤에 15cm 정도로 길쭉하게 위치하며 머리 부분은 십이지장과 맞닿아 있으며 꼬리부분은 좌측 비장과 맞닿아 있다. 췌장암을 검사하는 방법에는 초음파, 내시경췌관조영술, CT, MRI가 있는데, 일반적인 검진에 사용되는 초음파의 경우 위장관 가스로 인해 췌장의 머리와 꼬리 부분은 확인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CT나 MRI의 경우 1cm 내외의 암을 찾아낼 수는 있지만 건강 검진에 항상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서 머리와 꼬리 등에 발생한 췌장암의 경우 조기 발견이 어렵다.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위험인자는 가족 중 췌장암 환자가 있는 경우, 또 본인이 만성 췌장염을 앓고 있는 경우, 노년에서 발생한 당뇨환자, 고지방 식이, 흡연 등이다. 또한 건강 검진에서 종종 발견되는 췌장낭종(물혹)도 췌장암의 위험인자이다.
가로로 길게 놓여있는 췌장은 종양의 위치와 주위 장기로의 전이 정도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먼저 췌장의 머리 쪽에 암이 생겼을 경우 간에서 담즙이 내려오는 길을 막기 때문에 초기에 황달이 생길 수 있고, 췌장의 가운데나 꼬리 부분에 암이 생길 경우에는 복부 불편감, 소화불량, 체중 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췌장 가운데나 꼬리쪽에 암이 생겼을 경우 머리에 비해서 뚜렷한 특이 증상이 없어 늦게 발견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유 없이 6개월 동안 10%이상의 체중감소나 식욕감퇴 ▲배꼽 주위에 덩어리가 만져지거나 배나 등에 통증이 발생 ▲눈이나 피부가 노랗게 되며 짙은 갈색의 소변이 나오는 황달 ▲ 당뇨병 가족력이 없이 갑작스럽게 당뇨병이 발생 ▲만성췌장염을 앓고 계신 분이 갑작스런 체중 감소를 보일 때(기존 체중의 10%이상 감소) 췌장암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완치 목적의 수술이 가능한 환자는 10명 중 1~2명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암의 크기가 작더라도 암 발생 부위에 따라서 동맥과 과하게 붙어있는 경우나 국소적으로 진행되는 암인 경우 등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기 때문인데, 수술이 불가능하다고 하더라도 항암치료나 방사선 치료를 통해 좋아질 수 있다. 이 경우 종양의 크기를 줄인 후 수술하거나 환자의 삶의 질 개선에 집중하게 된다.

수술을 받을 환자들 중에서도 80~90%가 재발된다. 재발 환자 중에서 약 50~80%의 환자는 주위 림프절이나 국소 재발을 경험하고 약 80%는 간, 복막, 폐 등에 원격전이의 형태로 재발한다. 최근에는 정밀의학을 기반으로 한 맞춤치료법도 시도되고 있어 예후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이홍식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1기 생존율이 가장 높지만 1기에서 검사한다고 해도 1~2cm 크기의 췌장암을 찾아내기는 어렵고, 증상이 없는데 비용이 크게 드는 검사를 진행하는 것도 효율적이지 않다”며 “평소에도 자주 있을 수 있는 증상이더라도 증상을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최근에 위, 대장내시경 검사를 했음에도 소화불량 증상이 지속되고 특히 체중 감소가 동반되는 경우는 췌장질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가족력이 없는 분이 당뇨병으로 진단되거나 짙은 색깔의 소변을 보는 등 조금이라도 증상이 나타난다면 내원하여 검사해 보는 것이 최선이다”라며 “아직 뚜렷한 췌장암 예방 방법은 없지만 잦은 음주를 피하고 금연이 중요하게 권고된다”라고 조언했다.

suin92710@kukinews.com

유수인 기자
suin92710@kukinews.com
유수인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