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코로나 막는 역학조사 '카드사용‧CCTV' 추적에 난항

신종코로나 막는 역학조사 '카드사용‧CCTV' 추적에 난항

기사승인 2020-02-12 12:01:36

[쿠키뉴스] 유수인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코로나) 추가 확진자 발생을 막기 위해 가장 먼저 행해져야 하는 일은 ‘역학조사’다. 누군가에게 전파가 되는 감염병 특성상 언제, 어디서, 누구를 만났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1급 감염병’으로 분류된 신종코로나 역학조사에서는 최대한 빨리, 보다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1급 감염병은 생물테러감염병 또는 치명률이 높거나 집단 발생 우려가 커서 발생 또는 유행 즉시 신고하고 음압격리가 필요한 감염병을 말한다.

접촉자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2차, 3차 감염이 발생하고 더 나아가 지역사회 감염으로 확산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관들은 확진자 동선 및 접촉자 파악에 있어 긴장의 끈을 놓치지 않고 있다.

박영준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관 환자관리팀장(질병관리본부 결핵조사과장)에 따르면, 신종코로나 역학조사도 환자발생→접촉자 확인→증상유무 확인→격리→모니터링→검사 등 기본 방식으로 진행한다. 신속 대응을 위해 환자 발생 당일 조사를 실시한다는 점이 기존 감염병과 다르다. 일반적으로는 환자 발생 다음날 조사가 진행된다.

환자가 발생하면 5~10명 정도의 역학조사팀, 지역 보건소 및 지자체 시·군·구청 대응팀 등이 구성된다. 팀별로 현장조사, 데이터 관리 등 업무를 나눠 진행한다.

접촉자는 확진자와 2m 이내 대면접촉 또는 직접적 체액접촉(비말접촉) 여부를 기준으로 한다. 같은 공간에 있었다고 해서 접촉자로 분류되는 것은 아니며, 적정 거리가 유지됐더라도 일정 시간 이상 확진자와 함께 공간에 머물렀다면 자가격리 대상자가 된다. 그는 “길거리에서 마주쳤다고 해서 접촉자가 되는 것은 아니고 그 시기에 환자가 마스크를 썼는지, 기침을 했는지 등 어떤 행동을 했는지가 고려된다”고 설명했다.

박 팀장은 확진자 진술에 의존해 접촉자를 구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토로했다. 역학조사는 확진자의 ‘진술’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억의 오류가 있을 수 있고 놓친 부분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2015년 메르스 사태 이후 휴대폰 위치추적, 카드사용내용 확인, CCTV 확인 등을 활용할 수 있게 되면서 정확도가 많이 올라갔지만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기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박 팀장은 “카드사용, CCTV 추적등의 기법은 확진자 진술을 바탕으로 검증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이다”라며 “카드를 사용했다면 본인이 가족 카드를 사용했을 수도 있고, 가족들이 확진자의 카드를 사용했을 수 있다. 진술과 안 맞으면 재확인하는 작업이 진행된다. 또 CCTV를 아무리 빨리 돌린다고 해도 백화점, 병원 내 영상을 확인하는 덴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접촉자를 바로 산출할 수 있는 방법도 없기 때문에 진술자가 말한 인상착의 등을 근거로 분류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CCTV영상을 반복적으로 보는 것은 엄청나게 지루한 일이지만 진술이 불명확하면 하루종일 돌려봐야 한다. 우리나라는 외국과 달리 이런 기법들이 잘 되어 있고 실제로 정확도도 많이 올라갔지만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는 확진자의 진술”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런데 진술 협조를 구하기가 어려울 때가 있다. 이들을 ‘범죄자’처럼 보는 인식으로 인해 진술을 꺼리거나 과도한 사생활 노출로 인해 이야기를 멈추는 것”이라며 “진술 거부에 대한 벌칙조항이 있긴 하지만, 우리는 설득을 먼저 한다. 이를 테면, 우리는 처벌하기 위해 감시하는 게 아니다, 통제하기 위해 격리하는 것이 아니다, 정확하게 말해야 가족과 지인들이 보호될 수 있다고 강조한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인력 충원이 필요하다고도 전했다.

박 팀장은 “숙달된 조사관 1명이 양성되기 까지 상당한 기간이 필요하다. 특히 역학조사는 팀플(팀플레이)인데, 숙련된 조사관 한 두명이 있다고 해서 되는 일이 아니다”라며 “지방은 팀플을 할 수 있는 인력 규모가 안 되기 때문에 과감하게 투자하여 조사관을 보강할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suin92710@kukinews.com

유수인 기자
suin92710@kukinews.com
유수인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