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검사 전문가들 “코로나19 환자 증가 조기발견 원활 의미”

진단검사 전문가들 “코로나19 환자 증가 조기발견 원활 의미”

기사승인 2020-02-25 11:50:17

[쿠키뉴스] 한성주 기자 = 국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 확진자 수의 증가는 지역사회 내 바이러스 보유자의 조기 발견 역량이 높다는 전문가 분석이 나왔다.

국내 진단검사의학 관련 단체들은 25일 서울 중구 서울스퀘어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이 밝혔다. 이날 ▲대한진단검사의학회 ▲진단검사의학재단 ▲대한임상검사정도관리협회 ▲대한임상미생물학회 ▲대한진단유전학회 ▲한국검체검사전문수탁기관협회 등이 참여했다.

권계철 진단검사의학재단 이사장은 “22일 기준 전국 432개 기관에서 검체를 채취가 이뤄지고 있으며, 대한진단검사의학회에서 운영하는 코로나19 검사 및 감시체계에 전국적으로 77개 의료기관이 포함돼 검체에 대한 검사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고 현황을 밝혔다. 이어 “전국에 약 1200명의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가 활동 중이며, 현재까지 2만4248명의 의심환자에 대한 검사를 진행했다”고 덧붙였다.

권 이사장은 “감염병의 확산 저지에는 감염자 조기 발견이 가장 중요하다”며 “지난 몇 주 전에 비해 확진자 수치가 눈에 띄게 증가했지만, 이는 지역사회 내 바이러스 보유자를 조기에 구분해내는 능력이 뛰어나다는 의미다”라며 긍정적인 분석을 제시했다. 이어 “전날 시약 제조 업체 두 곳에 문의한 결과 일 7만5000개 이상 생산 가능하다는 답변을 받았다”며 “우리나라에서 시약 부족으로 검사를 진행하지 못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검체 검사 기관의 선정 과정과 신뢰도 확보 방식에 대한 설명도 이어졌다. 이혁민 대한진단검사의학회 감염관리이사는 “검체 검사 실시 기관 모집에 지원한 기관에 대해 교육과 정확도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1차 모집 당시 52기관의 신청을 받았으며, 이들 기관에 3개 양성물질과 4개 음성 물질을 보냈다”며 “물질의 양성·음성을 모두 정확히 가려낸 기관 46개가 통과됐다”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2차 모집에서는 38개 기관이 지원해 31개 기관이 정확도 검사를 통과했다. 또한 현재 3차 모집이 실시되고 있어 검사 기관의 수는 더 늘어날 예정이다.

확진자 과반이 발생한 대구·경북 지역의 검사역량 확보 여부가 파악되기도 했다. 전창호 대구가톨릭대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는 “대구에서는 대구환경보건연구소와 관내 4개 대학병원에서 검체 검사가 실시되고 있다”며 “이들 기관에서 하루에 1000건가량의 검체를 검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의료기관 이외에 유전자검사 수탁기관까지 포함하면 대구 경북지역에서 발생하는 수요는 대구 경북지역 내 기관에서 모두 검사 가능할 것으로 파악된다”고 내다봤다. 

아울러 간담회에서는 우리나라와 해외 진단 역량의 격차에 대한 우려도 나왔다. 장철훈 대한임상미생물학회 이사장은 “미국은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 인가된 2개 기관, 일본 역시 국립감염증연구소(NIID)에서 인가한 두 군데 대학병원에서만 진단검사 실시 중으로, 검사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특히 일본의 경우 사용하고 있는 진단 키트 역시 임시제작 제품 수준이다“라고 말했다. 장 교수는 미국과 일본을 비롯해 해외의 코로나19 진단검사 역량은 인적·물적·질적 차원에서 모두 우리나라와 격차가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검체 검사 시간의 단축 가능성이 간담회에서 언급됐다. 현재 사용되는 ‘분자진단’ 방식은 의심환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해 결과가 나오기까지 통상 6시간이 소요된다고 알려졌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에 따르면 검사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바이러스 핵산증폭’과 검체 채취 등에 걸리는 시간은 약 3시간이다. 따라서 전체 검사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은 향후 단축이 가능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했다. 

다만, 검사 절차와 시간을 극단적으로 단축한 ‘신속진단 키트’는 도입되지 않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검사 시간과 결과의 신뢰도는 정비례관계로, 신속진단과 분자진단의 검사 결과 정확도 차이는 100배에 달하기 때문이다. 또한 신속진단 키트 개발은 지금 당장 착수해도 최소 1년이 소요될 것으로 파악돼, 국내에서 당장 방역 현장에 투입될 가능성은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그러나 향후 저개발국가를 위한 방역 수단으로 신속진단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덧붙였다. 

castleowner@kukinews.com

한성주 기자
castleowner@kukinews.com
한성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