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 전담병원’ 감축 어떻게 이뤄지나

‘감염병 전담병원’ 감축 어떻게 이뤄지나

기사승인 2020-04-23 14:40:19 업데이트 2020-04-23 14:40:26

[쿠키뉴스] 김양균 기자 = 방역당국이 ‘감염병 전담병원’을 감축키로 하면서 지정 해제 기준 등 관심이 커지고 있다. 

감염병 전담병원은 지난 2월부터 국공립병원을 중심으로 지정돼 운영돼 왔다. 그랬던 것이 대구지역에서 확진환자가 급증한 이후부터 민간병원도 함께 지정돼 확진자 치료를 맡아왔다. 방역당국이 감염병 전담병원에 대한 감축을 결정한 이유는 최근 확진자수의 감소와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일반환자 진료에 어려움이 있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23일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정부세종청사 정례브리핑에서 “확진자들이 입원하지 않은 병원부터 우선적으로 해제한다”고 밝혔다. 관련 내용을 Q&A로 알아본다. 

Q. 지역 감염병 전담병원 해제 및 재지정 기준은?

A. 대구와 수도권을 제외한 나머지 시도에서 코로나19 감염 확진환자가 입원해 있는 경우들이 상당히 적고 병원 편차가 크다. 코로나19 환자가 1명도 입원해 있지 않은 일부 병원들부터 우선 해제를 하게 된다. 시도별로 확진환자가 적은 경우, 입원 확진환자 수를 보면서 단계적으로 지정 해제를 추진하고 있다. 

Q. 환자 수가 폭증할 경우, 민간병원도 감염병 전담병원 지정이 확대되나?

현재 감염병 전담병원들은 국공립병원이 55개소이고, 민간병원이 12개소이다. 대부분 대구·경북 지역 내 병원들이다. 국공립병원을 중심으로 해서 감염병 전담병원을 지정을 하되, 특정 시도에서 환자가 폭증하는 경우는 민간병원도 지정을 할 수 있는 방안들이 허용해놓고 있다. 민간병원도 상황에 따라 추가 지정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Q. 코로나19가 다시 확산될 경우 병상 운영방안은? 

A. 병상만으로 코로나19에 대응은 어렵다. 병상 외에도 검역, 지역사회 차단 방지, 확진자 치료,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전반적인 계획을 수립 중이다. 병상 운영과 관련해 고위험군이나 노년층의 경우에는 중증환자로 쉽게 이동, 전환되기가 쉽고 그래서 특히 중증환자에 대한 치료병상들을 얼마만큼 확보하느냐가 치료에서는 가장 중요하다. 감염병 전담병원은 중등도 환자를 중심으로 하는 방식으로 전환이 됐다. 중증질환자는 약 5% 가량이며, 중등도는 12% 가량으로 파악된다. 나머지 경증 약 80% 수준에 달하는 경증환자들은 생활치료센터라는 대체적인 치료 개념을 도입해 치료해 왔다. 

Q. 감염병 전담병원을 단계적 감축 배경과 추진 상황은?

감염병 전담병원은 환자가 오든 안 오든 비워놓을 수가 없다. 특히, 국공립병원은 그 지역에서 상당히 중추적인 의료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다. 지금 현재는 많은 일반 환자들이 다른 병원에서 지금 치료를 받고 있는 그런 상황이며, 일부 감염병 전담병원은 그 지역에서 유일한 의료기관인 경우도 있다. 

이를 고려해 확진자 수에 대응해 탄력적으로 병상을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봤다. 언제든지 확진자 수가 추가로 더 발생하면 거기에 맞춰 탄력적으로 병상을 즉시 동원할 수 있는 계획을 갖고 있다. 수도권과 전국을 구별하기보단 시·도별로 가용할 수 있는 병상과 권역별로 공동 활용할 수 있는 방안들까지 모두 고려하고 있다.  

angel@kukinews.com

김양균 기자
angel@kukinews.com
김양균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